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덕암서원(德巖書院)
   경상북도 성주군 월향면 유월리 1291
   이천배(李天培) 이천봉(李天封) 이 주(李 糹宙)
   1672년(현종 13)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286호(1994.04.16지정)
이 서원은 경산이씨(京山李氏)의 3현(賢)인 이천배(李天培), 이천봉(李天封), 이주(李糹宙)를 존모(尊慕)하여 1672년(현종 13)에 사림에서 덕암사(德巖祠)를 건립한 것에서 연유한다. 또한 「경산지 京山誌」와 「경상도읍지 慶尙道邑誌」에는 기록이 나타나지 않으나 「교남지 嶠南誌」에 의하면 덕암사(德岩祠)는 덕령산(德領山)아래에 있으며 효종조에 건립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1830년대 「성주읍지 星州邑誌」인물조(人物條)에 향덕암사(享德巖祠)라는 기록을 찾을 수 있어 1830년 이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흥선대원군의 서원훼철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876년(고종 13) 덕암서당(德巖書堂)으로 중건하였다. 지금의 서원 명칭은 1998년 정부와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아 묘우(廟宇), 내삼문, 동·서재 등을 건립하여 이듬해에 개칭한 것이다.
이천배와 이천봉은 형제 사이로 함께 정구에게 가르침을 받았는데, 이 중 이천봉은 정묘호란 때 성주에서 의병을 일으킨 공으로 벼슬을 지냈다. 이질은 이들과 숙질간이며, 이들은 한강(寒岡), 여헌(旅軒)의 학통을 계승한 유사(儒士)로서 그들의 학덕과 생애는 한·장 양현의 문집과 「문인록 門人錄」에 상세히 기술되어있다.

1)이천배(李天培, 1558~1604)
자(字) 경발(景發), 호(號) 삼익재(三益齋), 거(居) 성주(星州) 암포(巖浦)이다. 본관은 경산(京山)이다. 침(枕)의 자(子)이며 한강(寒岡)의 문인으로 과거에 뜻을 끊고 오직 학문에 열중하니 모둔 선비들이 외경(畏敬)하였고 명성(名聲)이 날로 높아져 여러번 벼슬의 천(薦)을 받았으나 취임치 않았다. 장현광(張顯光), 서사원(徐思遠), 여감호(呂鑑湖)등과 서신왕래하였으며 인근 향리에 정자를 짓고 논어(論語)의 익자삼우(益者三友)라는 뜻을 취하여 삼익(三益)이라 자호(自號) 편액하다. 덕암서원(德巖書院)에 봉향(奉享)되고, 문집 2권1책이 전한다.
 
2)이천봉(李天封, 1567~163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숙발(叔發), 호는 백천(白川). 1601년(선조 34)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형 천배(天培)와 함께 정구(鄭逑)를 사사하였으며, 1620년(광해군 12) 정구가 죽자 그의 원묘(院廟 : 신주를 모시고 제향하는 사당)를 짓고 신도비의 건립과 문집간행에 노력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당시 성주에서 의병을 일으켰고, 그 공으로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이듬해 금부도사에 제수되었다. 성주 덕암사(德巖祠)에 향사되었다.
 
3)이주(李糹宙, 1599~1669)
자(字) 신언(愼彦), 호(號) 학가재(學稼齋), 거(居) 성주(星州) 암포(巖浦). 본관은 경산(京山)이다. 천증(天增)의 자(子)로 장여헌(張旅軒)의 문인, 향시에 합격한뒤 회시의 과장에서 난잡함을 보고 출사(出仕)의 뜻을 끊고 학문에 힘썼다. 스승의 행적을 성실히 정수 기록하였고, 충신자량(忠信慈良)으로 후학을 지도하니 이원정(李元禎) 등이 배출되었으며 정한강(鄭寒岡)의 유범(遺範)에 따라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본받아 동규(洞規)를 지어 교화(敎化)에 힘쓰며 풍속(風俗)을 바로 잡았다. 이도장(李道章), 이남로(李南老), 이완(李岏), 도시언(都時彦), 장건(張鍵)등과 서신 왕래를 문집 6권3책에 전한다. 덕암서원(德巖書院)에 제향(祭享)되었다.

서당을 출입하는 대문에 해당하는 솟을삼문인 건명문(建明門)을 들어서면 남동향으로 서당이 자리하고 뒷편에 방형토장이 둘러쳐진 사당이 있다.
 
1)사당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반의 5량가의 건물이다.
 
2)서당
화강석 장대석기단 위에 건물을 세운 서당의 규모는 정면 5칸에 측면 3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중당협실형이다. 중앙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에 2칸 온돌방과 우측의 1칸 온돌방이 자리하고 있으며 전면에 퇴칸을 두었다. 그리고 사면에 모두 퇴을 두었으며 마루와 온돌방은 4분합들문으로 구획시켰다. 외진주는 원형으로, 내진주는 방형으로 하였다. 외진주상부는 주두를 얹은 무익공소로수장으로 처리하고 대량위에는 접시받침하여 종량을 받도록 처리하였다.
 
3)동·서재
동·서재는 정면3칸, 측면 1칸으로 평면은 중앙 마루방을 중심으로 양측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의 구조로 되어 있다.


참고-한국국학진흥원편, 경북서원지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성주 문화관광 http://sjmelon.go.kr/
우리사이닷컴 http://www.wooricy.com/
신종우의 인명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