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화천서원(花川書院)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 16-2
   유운룡(柳雲龍) 김윤안(金允安) 유원지(柳元之)
   1786년(정조 10)
   
   3월, 9월 15일
   
유운룡(柳雲龍)의 학덕을 기려서 유림들이 현 위치에 세운 서원이다. 유운룡(柳雲龍)이 1601년(선조 34) 향년 6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고 185년 만인 1786년(정조 10)에 건립하여 9월에 유운룡(柳雲龍)의 위패를 봉안하고 1803(순조3년)에는 제자인 김윤안(金允安)과 종손자(從孫子)인 유원지(柳元之)을 배향시켜 100여 년 이상 춘추로 향사를 지내오다가 1871년(고종 8) 서원철폐령에 의해 강당과 주사만 남기고 훼철되었다. 서원의 훼철을 아쉬워하던 후손들은 1966년부터 기금을 모아 사림들의 공론으로 1996년 5월 2일 복설 고유를 거행했다.

1)유운룡(柳雲龍, 1539~160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응현(應見), 호는 겸암(謙菴). 아버지는 중영(仲郢)이며, 어머니는 안동김씨(安東金氏)로 진사 광수(光粹)의 딸이다. 성룡(成龍)의 형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릴 때부터 총명해 모든 경사(經史)를 통독함으로써 사문의 촉망을 받았다. 1572년(선조 5) 친명(親命)으로 음사(蔭仕)를 받아 전함사별좌(典艦司別坐)가 된 뒤 이듬해 의금부도사로 추배되었으나 사퇴하였다.
다시 사포서별제가 된 뒤 풍저창직장(豊儲倉直長) 등을 역임하면서 청렴하고 철저한 임무 수행 능력을 인정받아 내자시주부로 승진해, 진보현감 등을 지냈다. 그러나 어머니의 신병 때문에 사퇴하였다가 다시 인동현감으로 추배되었다.
길재(吉再)의 묘역을 정화하고 사우(祠宇)와 서원을 지어 유학의 진흥책을 도모해 그를 칭송하는 송덕비가 세워지기도 하였다. 광흥창주부·한성부판관·평시서령·사복시첨정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동생인 영의정 성룡이 선조에게 그를 해직시켜 어머니를 구출하도록 읍소하니 이 건의가 받아들여져 그는 어머니를 비롯한 온 가족이 모두 무사하도록 하여 모두가 그의 효심을 칭찬하였다.
그 해 가을에 풍기가군수(豊基假郡守)가 되었으며, 전란의 어려움에도 조공을 평시와 같이 함으로써 얼마 뒤 다시 정군수(正郡守)가 되어 왜적들의 위협을 받고 있는 백성들의 생업을 보호하는 데 힘썼다. 그 뒤 원주목사로 승진되었으나 어버이의 노쇠함을 핑계하여 사퇴하였다.
군국기무(軍國機務)에 관한 소를 올려 선조로부터 인정을 받아 조의(朝議)에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학문에서는 이기설이나 사칠논변(四七論辨)은 이황의 이기이원론에 근거를 두고 변증을 시도하려 하였다. 저서로는 ≪겸암집≫이 있다. 안동의 화천서원(花川書院)에 제향되어 있다.
 
2)김윤안(金允安, 1562~162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이정(而靜), 호는 동리(東籬). 할아버지는 자순(自順)이고, 아버지는 현감 박(博)이다.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이다.
1588년(선조 21)에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임진왜란 때 김해(金垓) 휘하에서 형 윤명(允明)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1604년 생원으로 소를 올려 오현(五賢)을 문묘에 종사(從祀)할 것을 청하였으나, 선조가 이언적(李彦迪)의 사적에 미심쩍음이 많다고 하여 부당하다는 전교를 내렸다.
1612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대구부사·대사간을 역임하였다. 특히 대구부사로 있을 때, 백성을 관대하게 다스리고 권세 앞에서도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리고 정온(鄭蘊)이 영창대군 피살의 부당함을 주장하다가 제주로 유배될 때에는 시를 지어 그를 위문하였다.
3)유원지(柳元之, 1598~1674)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초명은 경현(景顯). 자는 장경(長卿), 호는 졸재(拙齋). 영의정 유성룡(柳成龍)의 손자로, 장령 여(袽)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군자감정 세찬(世贊)의 딸이다. 할아버지 성룡과 작은아버지 진(袗)에게서 수학하였다.
일찍이 황간·진안 등지의 현감을 역임하였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에는 안동지방의 의병장 이홍조(李弘祚)와 함께 활약하였다. 학문에 열중하여 사서오경과 제자백가에 능하였으며, 특히 성리(性理)·이기(理氣)·상수(象數)·천문·지리·예설 등에 통달하였다.
이기설에 있어서 주로 이황(李滉)의 이발기발설 (理發氣發說)에 동조하는 입장을 취하고 이이(李珥)의 설을 반박하였으며, 예설에 있어서는 효종의 복상문제(服喪問題)에 송시열(宋時烈)이 의정(議定)한 기복제(朞服制)를 부인하고 3년설을 주장하였다. 안동의 화천서원(花川書院)에 봉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졸재집≫ 14권 7책이 있다.

경내에는 사당인 경덕사(景德祠), 강당인 숭교당(崇敎堂), 동재(東齋-尊賢齋)와 서재(西齋-典學齋), 문루 지산루(地山樓), 원문 유도문(由道門), 주소 전사청(典祀廳)이 있다.
 
1)사당
경덕사에는 유운룡(柳雲龍)을 배향하였으며, 그 후 제자 김윤안(金允安)과 종손자인 유원지(柳元之)를 배향하였다.
 
2)강당
숭교당(崇敎堂) 정면에는 화천서원이란 현판이 걸려 있으며, 고종 5년 화천서원의 훼철시에 주소와 함께 남은 건물이다. 좌우로 방이 있는데 좌측은 입교재(立敎齋)라 하고, 우측은 사성재(思誠齋)라 한다.
 
3)동·서재
강당 전면 좌우에 대칭으로 앉아 있는 동서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맞배기와집이다. 동재는 전학재(典學齋), 서재는 존현재(尊賢齋)라는 현판이 달려있다.
 
4)지산루
‘지산루(地山樓)’라는 현판이 걸린 문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기와집으로 난간을 두르고 마당쪽에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을 놓았다.
 
5)고직사
측면에 대문이 나 있는 고직사는 중앙에 정면 3칸의 대청을 놓고 좌우에 안방과 건넌방을 연결하였다. 방들 아래에는 부엌과 광등이 아래로 연결되고 집의 전면은 열려있어 전체적으로 ‘ㄷ’자형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서원에서 보존해 오던 고문헌 및 책판 등은 하회마을 양진당에서 관리하다가,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 보관 중이다. 화천서원에는 원임록인 「청금록」만 있으며, 이외에도 현판들과 비석 1기가 있다.

참고-한국국학진흥원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