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인산서원(仁山書院)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모지동)
   主享人物 이휘일(李徽逸), 追享人物 이현일(李玄逸)
   1696년(숙종22년)
   
   춘향(春享) : 2월 中丁, 추향(秋享) : 8월 中丁
   
인산서원은 존재(存齋) 이휘일(李徽逸)선생이 돌아가신 후 15년 되는 해(1687年) 8월 18일 문하생과 부읍사림(府邑士林)이 제회(齊會)하여 서원 창건을 발의하고 도내사림이 적극 찬동하여 1688년(숙종14년) 10월 18일 개기시역(開基始役)하기에 이르러 당년11월 3일 상량(上樑) 하였다. 상량문은 전 사간(司諫) 김태일(金兌一)이 지었다. 1696년(숙종22년) 완공하고 1696(숙종22년)10월24日 本邑 선비와 列邑 사림이 제회(齊會)하여 主享인 存齋先生 위판(位版)을 奉安告由 하였으며 奉安文은 전 대사간(大司諫) 이봉징(李鳳徵)이 지었다. 1711년(숙종 37년)10월 안동 사림과 봉화, 영주 등지의 사림이 봉화 삼계서원(三溪書院)에 모여 송나라 하남의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 형제의 고사를 인용해서 갈암선생(葛庵先生)을 추향(追享) 형제 합향(合享)하자는 의견을 발의하여 인산서원(仁山書院)에 통유(通諭)하였으며 1718년(숙종44) 10월22일에 본읍사림(本邑士林)과 도내 유림다수 제회(齊會)하여 갈암선생 위판봉안고유(位版奉安告由) 하였다. 이때 봉안고유문은 하당 권두인(荷塘 權斗仁)이 지었다.
 
o. 추향위 훼철(追享位毁撤)
1737년(영조 13) 8월18일 추향위 갈암선생 위판(位版)을 국령으로 훼철
 
o. 이건 발의(移建發議)
1707년(숙종 33 丁亥) 홍수 이후로 서원에 침수(侵水)가 잦은 관계로 1737년(영조 13) 8월21일 영양 사림(英陽士林) 조위(趙褘) 등 50여 인이 서원을 모지(茅池)동으로 이건 하기로 발의하고 열읍(列邑) 사림이 동의한 결과 그해 9월9일에 개기시역(開基始役)하여 같은 해 10월 27일에 완공을 보아 동년 11월14일 이안고유(移安告由) 행사를 행하였으며 고유문은 눌은(訥隱) 이광정(李光庭)이 지었다.
 
o. 서원훼철(書院毁撤)
1741년(영조 17년) 11월 13일 국령(國令)으로 서원 훼철
 
o. 상향 축문(常享 祝文)
존재선생(存齋先生) : 功深博約 志大經綸 歛而不施 惠我後人 (荷塘 權斗寅 所撰)
갈암선생(葛庵先生) : 學求爲己 道不行時 啓佑後世 嘉訓永垂 (荷塘權斗寅 所撰)

1)이휘일(李徽逸 1619~1673)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공의 차자로서 호군공(護軍公)의 뒤를 이은 선생은 자는 익문(翼文), 호는 존재(存齋)로, 본관은 재령(載寧)이다. 5-6세 때 이미 오경요어(五經要語)를 읽었으며, 9세 때에는 연구(聯句)를 지을 정도로 문재(文才)가 뛰어났으며, 13세 때에는 『구인략(求人略)』을 역었다. 조부이신 운악공(雲嶽公 諱 涵)께 역(易)을 읽은 소감을 시로 지어 조부님을 감탄케 한 바 있다. 이때 운악께서 맹자(孟子)의 오륜설(五倫說)을 존재에게 주시었다. 이때부터 구도(求道)의 뜻을 가지고 외조부인 경당(敬堂) 장흥효(張興孝)의 문하(門下)에서 수업하셨다.
그 뒤 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를 비롯해서 「근사록(近思錄)」,『심경(心經)』, 『성리대전(性理大全)」, 역학계몽(易學啓蒙)」 『주자서 절요(朱子書節要)」,「퇴계선생 문집(退溪先生文集)」등 이학(理學)에 관한 저서를 두루 탐독하고 그 원리를 찾는 데 힘을 썼다. 특히 맹자(孟子)의 수심양성(收心養成)에 뜻을 두고 구도(求道)에 전심(專心)하였으며, 상제의례(喪祭 儀禮)의 제도와 절목을 상세히 연구하였다.
『홍범연의(洪範衍義)』를 집필하던 도중, 불행하게도 별세하시니 향년이 54세였다.
「홍범연의」는 아우인 갈암에 의해 총 13책으로 완성을 보았다.
선생은 특히 장경당(張敬堂)의 이학(理學)을 아우 갈암(葛庵)에게 전해 줌으로써 성리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그 외에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법(曆法), 역학(易學) 등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예학(禮學)에 밝았다.
선생은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어 경기전(慶基殿)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연거(燕居) 강도(講道)하기 위해 오촌(梧村) 동구(洞口)에 명서암(冥棲岩)이란 누정을 짓고 소요자적하면서 풍영(風咏)을 즐기기도 하셨다.
배위는 무안박씨 경력(經歷) 륵(玏)의 따님이며, 계위는 풍산김씨(豊山金氏) 시종(時宗)의 따님이다. 아들이 없어 갈암선생의 차자인 오촌공 (梧村公, 檥)이 뒤를 이었다.
인산서원(仁山書院)에 제향(祭享) 했으며 저서로 존재선생문집(存齋先生文集) 8권 3책이 세상에 전한다.
 
2)이현일(李玄逸 1627~1704)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의 3자인 선생은 자는 익승(翼昇), 호는 갈암(葛庵) 본관은 재령(載寧)이다. 7세때부터 「십구사략(十九史略)」을 배우기 시작하여 8세 때 이미 화왕시(花王詩)를 지어 세인(世人)을 놀라게 한 바 있다. 어느날 중형인 존재(存齋)선생이 장래의 뜻을 물었을 때 원수(元帥)가 되고 싶다고 하였으며, 10세 때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선생은 〈창 앞 네 그루의 매화나무는 달을 향해 피고 있구나, 꽃 아래서 술을 마시고 싶으나 오랑케가 성궐을 포위한 것을〉이 란 시를 지어 울분한 마음을 달래기도 하였다.
14세 때 병서(兵書)와 사서(史書)를 탐독하였으며, 15세 때 하루는 마을 소년들을 모아 놓고 팔진도(八陣圖) 모양을 배치한 다음 단(壇 )에 올라 소년들을 마음대로 지휘하여 마을 어른들을 놀라게 하였다. 18세 때에는 자신의 병정(兵丁) 놀이에 대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뜻에서 스스로 깨닫는 자경잠(自警箴)을 지어 가슴속에 간직하고 이때부터 성리학(性理學)에 전념하였다.
20세 때 석계공의 명에 따라 초시(初試)에 합격하였으며, 22세 때인 인조(仁祖) 27년(1649)에도 초시에 합격하였으나 정치에 뜻이 없어 복시(覆試)를 단념하고 도산서원(陶山書院)을 비롯,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 ), 경당(敬堂)장흥효(張興孝) 등 선유(先儒)들의 유적을 두루 살피면서 감패(感佩)에 젖어 중형(仲兄)인 존재(存齋)선생을 따라 석계초당(石溪草堂)에서 학문탐구에 전념하셨다.
현종(顯宗) 8년(1667) 40세 때 영남유림(儒林)을 대표하여 서인(西人)인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예설(禮說)을 비판하는 소(疏)를 지었다.
당시 선생의 주장은 효종이 왕위를 계승하였기 때문에 차적(次嫡)도 장자(長子)로 보아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효종을 함부로 서자(庶子)라 하는 것은 중자(衆子)의 뜻이라고 하나, 첩자(妾子)이기 때문에 불경(不敬)하다. 따라서 기년설을 철회해야 하는데도 끝까지 변호한다고 비관하였다.
선생은 왕가(王家)의 예는 사서(士庶)의 예와 다르다는 왕조례(王朝禮)의 특수성을 기반하여 군주(君主)의 절대성을 인정하는 데 있었다. 다시 말해서 선생의 예설은 「주례(周禮)」,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의거하 여 왕사부동체(王士不同體), 나아가 신모복설(臣母服說)까지 주장했던 백호(白湖) 윤휴(尹鑴)의 예설(禮說)에 부합하고 있었던 것이다.
현종 15년(1674) 48세 때 영릉참봉(寧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그 뒤 숙종2년(1676)에 사직서(社稷署)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고, 이듬해 장악원주부(掌樂院主簿), 이어 공조 좌랑(工曹佐郞)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제수되었지만 취임하지 않았다.
숙종4년(1678) 52세때 소명(召命)을 받고 상경하여 공조 정랑(工曹正郞)에 이어 지평(持平)에 임명되어 명정학(明正學), 진기강(振紀綱) 회공도(恢公道), 납충간(納忠諫), 찰민정(察民情)의 5조를 들어 시무책(時務策)의 일환으로 상소하였다.
숙종12년(1686)에는 홍범연의(洪範衍義)」를 속성(續成)하였으며, 그 뒤 성리학을 연구, 특히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에 대해서, 사단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사덕(四德)을 회유(回有)하는, 즉 이(理)가 발(發)하므로 기(氣)가 이것을 따르는 것이며 칠정(七情)은 기(氣)가 발(發)하여 이(理)가 탄다 이것을 탄다(乘)는 것으로 퇴계학설을 지향하고 율곡(栗谷) 학설을 비판한 율곡사단 칠정변(栗谷四端七情辨)을 이때에 논하였다.
숙종15년(1689)에 성균관 사업(成均館司業)에 임명되었다가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에 제수되고, 다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특승(特陞)되었으며 이어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전임되었으며 그 뒤 예조 참판(禮曹參判) 겸 성균관 좨주(祭酒), 원자보양관(元子輔養官)을 거쳐 사헌부 대사헌(司憲府大司憲)에 제수되면서 앞서의 관작(官爵)을 겸직하였다.
숙종17년(1691)에는 사육신(死六臣)의 복관치제(復官致祭)를 적극찬성하였으며 그 뒤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이어 세자시강원 찬선(世子侍講院 贊善)에 제수되었으며 숙종19년(1693)에는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이어 의정부 우참찬(義政府右參贊)을 거처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제수되셨다.
이때 선생은 향약(鄕約)과 선사법(選士法)을 건의하였다.
숙종 20년(1694)에 갑술환국(甲戌換局)으로 정국(政局)이 바뀌자 이해 4월에 함경도 홍원(洪原)으로 유배(流配)되었다가 5월에 다시 서울로 압송되어 앞서의 소(疎), 즉 인재이언사소( 因災異言事疎) 가운데 〈自絶于天〉과 〈爲設防衛 謹其赳禁〉등 구절을 문제삼아 이를 해명하였는데,
이소를 문제 삼았던 이는 당시 장령(掌令) 안세징(安世徵)으로 원소(元疏)를 보지도 않고 탄핵하다가 선생의 해명을 듣고 과실을 뉘우치고 물러간 바 있다. 이해 7월에 함경도 종성(鐘城)에 위리안치(圍籬安置)되었다.
숙종22년(1696)에는 배소(配所)에서「주서절요(朱書節要)」대학혹문(大學或問) 등을 강론하면서 「수주관규록(愁州管窺錄)」을 완성 하였다.
숙종25년(1699)에 남구만(南九萬), 윤지선(尹趾善) 등의 주선으로 전라도 광양(光陽)으로 이배(移配)되었으며 1701년에 방귀전리(防歸田里)의 명이 내렸고, 이듬해에 안동 임하(臨河) 금소(琴韶)에 이거(移居)하였다가 금양(錦陽)에 소옥(小屋)을 짓고 문생(門生)들에게 학문을 강론하셨다.
숙종30년 (1704)에 인덕리(仁德里)로 이거(移居)하였다가 금소로 돌아와 병석에 들었으며 병중에 다시 금양(錦陽)으로 이우(移寓)하여 별세하시니 향년이 78세였다.
숙종 36년(1710)에 죄명이 풀렸으며 고종(高宗) 8년(1871)에 문경(文敬)의 시호를 내렸다가 환수(還收) 된 바 있으나 순종 2년(1908)에 복관(復官) 복시(復諡)되었다.
배위는 정부인(貞夫人) 무안박씨(務安朴氏)로 무의공(武毅公) 박의장(朴毅長)의 손녀이다.
선생의 학문은 퇴계학통(退溪學統)을 계승한 영남학파의 거두로 율곡(栗谷)학설에 반대하고 퇴계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지지하였으며, 이 학통은 밀암(密庵 ) 이재(李栽) →외 증손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등으로 계승되었다.
저서로 홍범연의(洪範衍義) 및 존주록(尊周錄), 율곡사단칠정서변(栗谷四端七情書辨) 등과 갈암선생 문집(葛庵先生 文集)이 있다.

우(廟宇) 6칸, 동서재(東西齋) 각 3칸,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