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금산서원(錦山書院)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산리
   신지제(申之悌) 신체인(申體仁) 신지효(申之孝)
   1782년(정조 6)
   
   3월 중정(中丁)
   
금산서원(錦山書院)은 1782년(정조 6)에 신체인(申體仁)이 금연정사(錦淵精舍)를 창건하여 금산언덕에 서당을 세워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힘쓰며 시작되었다. 신체인이 세상을 떠난 뒤 132년 후인 1912년에 무너져 현판만 남아 전해왔던 것을 1977년에 새로 중건하고 1991년에는 유림의 공의를 얻어 금연정사를 금산서원으로 승격시켰다. 이때 신체인과 함께 신지제(申之悌)를 봉향하였다. 지금도 강당에는 금연정사 현판과 금산서원 현판을 게시하고 있다. 2005년에 신지효(申之孝)를 추향하였다.

1)신지효(申之孝, 1561~1592)
본관은 아주(鵝洲) 자는 달부(達夫) 호는 응암(鷹巖)이다. 임진왜란이 급할 때 아우 지제(之悌)는 선성현령(宣城縣令)으로 있고 선생은 늙은 부모를 모시고 집에 있다가 바위틈에 숨어 있더니 왜적이 쫓아와서 칼로 선생의 왼쪽배를 쳐서 피가 흔건히 흐르는 지라 선생이 목숨이 끊어질 때 칡을 입으로 씹어 붓을 만들어 가지고 혈서로 옷소매에 써서 아우에게 주기를 “나의 몸가짐이 주밀하지 못하고 효성이 없음이 이보다 더할 수가 있겠는가?, 늙은 부모는 여러 아우들이 있어 모시고 있거니와 군(君)은 이미 몸을 왕실에 맡긴 지라, 직수(職守)가 있는 터이니 마땅히 난에 임하여 임금의 명을 받들어 시석(矢石)을 무릅쓰고 죽음에 나갈 것이며, 내 시체를 찾지 못할까 걱정하여 다행히 발바닥에 선성(宣城) 두 자를 써서 알도록 하였노라” 하였다. 조선 때의 학자로 명성이 높았다.
 
2)신지제(申之悌, 1562~1624)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자는 순부(順夫), 호는 오봉(梧峰)·오재(梧齋). 경상도 의성 출신. 증창례원판결사 한(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공조참판 응규(應奎)이고, 아버지는 증좌승지 몽득(夢得)이며, 어머니는 의흥박씨(義興朴氏)로 민수(敏樹)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 1601년 정언(正言)·예조좌랑, 이듬해 지평(持平)·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 등을 거쳐 1604년 세자시강원문학(世子侍講院文學)·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을 역임하였다.
1613년(광해군 5) 창원부사로 나가 백성을 괴롭히던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에 올랐고, 인조반정초에 동부승지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못하고 죽었다.
효성과 우애가 돈독하고 경사(經史)에 통달하여 유성룡(柳成龍)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예안현감 재직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군대를 모집, 적을 토벌하였다. 간관으로 있을 때 직간하였고, 수령재임 때에는 치적을 남겼다.
그의 시문은 문집에 수록되어 전해지고 있다. 의성에서 장대서원(藏待書院)을 세워 지방자제교육에 힘썼고, 죽은 뒤에는 김광수(金光粹)·이민성(李民宬)·신원록(申元祿)과 함께 그 서원에 배향되었다.
 
3)신체인(申體仁, 1731~1812)
본관은 아주(鵝洲), 자(字)는 자장(子長), 호(號)는 회병(晦屛)이다. 오봉(梧峰) 지제(之悌)의 후손, 도만(道萬)의 자(子)로 김락행(金樂行), 임필대(任必大), 이상정(李象靖)의 문인이다. 어려서 화장산(華藏山) 초당에서 독서에 몰두하여 30세 전후에 경전(經典)과 천문지리(天文地理), 의술(醫術) 등 두루 통달(通達)하였다. 이후 호문(湖門)에서 도학(道學)을 연마하였으며 출사(出仕)에 뜻을 끊고 오직 경(敬)하나로 거경궁리(居敬窮理)하면서 숭경록(崇敬錄)을 저술(著述)하였으며 이대산(李大山)의 묘갈명을 채제공(蔡濟恭)에게 받았으며 채공(蔡公)이 이르기를, “공(公)이 진정 참된 글 읽는 선비로다)”라고 했다. 김천사(金川沙), 남손재(南損齋), 김구재(金苟齋), 이묵허(李默軒), 정입재(鄭立齋), 안순암(安順庵) 등과 상교(相交)하였으며 호문육군자(湖門六君子)로 금산서원(錦山書院)에 제향(祭享)되고 문집12책이 전한다.
 

금산서원은 강당의 서측면으로 사당이 배치되어 있는 병렬형태이다. 또한 독특하게 서재는 강당의 남측에 자리하고 있으나, 동재는 강당의 동측에 수평으로 자리잡고 있다. 현존하는 건축물로는 모현사(慕賢祠)인 사당과 강당, 동재, 서재인 존성재(存誠齋), 누각, 숭교문(崇敎門)이라 쓰인 외삼문 등 총6동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참고-한국국학진흥원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