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운계서원(雲溪書院)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덕촌리 산4-2
   조 욱(趙 昱) 조 성(趙 晟) 신 변(申 抃) 조형생(趙亨生) 조문형(趙文衡)
    1654년(효종 5)
   1714년(숙종 40)
   8월 21일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8호(1983.09.19지정)
운계서원은 명종 때의 학자 조욱(趙昱)을 추모하기 위하여 그의 제자들이 건립한 용문서원(龍門書院)에서 비롯되었다. 용문서원은 1654년(효종 5)에 조욱이 말년에 은거하면서 후학을 가르친 세심당(洗心堂) 인근에 세워졌으며, 이 때 배향된 인물은 조욱과 그의 형 조성(趙晟), 신변(申抃)이었다. 1714년(숙종 40)에 박세구(朴世龜) 등이 상소를 올려 사액을 청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하였다. 지평의 사림들이 재차 사액을 청하자 신변은 서원에 배향할 만큼 뚜렷한 행적이 없다고 하여 그를 제외하고 사액이 내려졌다. 그리하여 지역 유림들은 지평관아 옆에 향현사(享賢祠)를 짓고 신변과 함께 조형생(趙亨生), 조문형(趙文衡)을 배향하였다. 그리고 1798년(정조 22)에는 유생 민성유(閔聖游) 등이 상소하여 특명으로 권경우를 향현사에 추가 배향하였다.
『운계서원지』에 따르면 1838년(헌종 4)에 임금이 용문사에 행차했다가 용문서원이 사찰 이름과 같다고 하여 운계서원으로 개칭하도록 하였다고 하며, 조문형의 묘비문에는 같은 해 조문형이 운계서원에 추가 배향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운계서원은 향현사와 함께 훼철되었고, 유림들이 서원 터에 제단을 설치하여 이어왔다. 그 뒤 1932년에 조욱의 후손을 비롯한 지평의 유림들이 서원을 복원하고, 향현사에 봉안되었던 조형생, 조문형, 신변의 위패도 함께 봉안하였다. 이 때 권경우의 위패는 그의 후손들이 별도로 수곡서원을 건립하고 이향하였다. 운계서원에서는 조욱의 탄생일인 8월 21일을 기하여 향사를 지내고 있다.

1)주벽-조욱(趙昱, 1498∼1557)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경양(景陽), 호는 용문(龍門)·보진재(葆眞齋). 아버지는 판관 수함(守諴)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춘양군 래(春陽君 徠)의 딸이다.
1516년(중종 11)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조광조(趙光祖)·김식(金湜)을 사사하면서 학문연마에 힘썼다. 기묘사화 때 두 스승에 계루되었으나 연소하다고 하여 화를 면하였다. 그 뒤 형인 성(晟)과 함께 삭령에 집을 짓고 학문을 강론하며 지냈는데, 세상사람들은 그들을 정호 (程顥)·정이(程蓬) 형제에 비겨 칭송하였다. 뒤에 선원전(璿源殿)·순릉(順陵)·영릉(寧陵) 등의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였다. 어머니가 죽은 뒤 3년상을 마치고 용문산(龍門山)에 들어가 은거하였는데, 학문이 알려져 용문선생이라 일컬어졌다. 명종 때 성수침(成守琛)·조식(曺植) 등과 함께 천거되어 내섬시주부(內贍寺主簿)가 제수되었고, 이듬해 장수현감에 이르렀다.
시문과 서화에 능하였으며, 서경덕(徐敬德)·이황(李滉) 등 당대의 명사들과 교유하였다. 이조참의에 추증되었고, 용문서원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용문집≫이 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2)조성(趙晟, 1492∼1555)
조선 중기의 음악이론가·학자·의원.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백양(伯陽), 호는 양심당(養心堂). 조수함(趙守諴)의 아들이다. 1513년(중종 8) 생원에 합격하였고, 벼슬은 부사과를 거쳐 의영고영(義盈庫令)에 이르렀다. 율려(律呂)에 밝을 뿐 아니라 의약과 산수에도 정통하여 군직(軍職)에 나가서는 의술을 가르친 바도 있다.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아 특히 성리학에 밝았으며, 필법에도 능하였다. 1551년(명종 6) 교정청을 설치하여 세종 때 박연이 만든 편종과 편경을 교정할 즈음 우참찬 안현(安玹)의 책임하에 조성으로 하여금 이정(釐正 : 정리하여 바로잡아 고침.)하게 하였다. 또한, 거문고의 명인으로서 이득윤(李得胤)의 ≪고금금보문견록 古今琴譜聞見錄≫과 ≪송씨이수삼산재본금보 宋氏二水三山齋本琴譜≫에 <조성보 趙晟譜>가 전한다. 지평의 운계서원(雲谿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양심당집≫이 있다.
 
3)신변(申抃, 1470∼152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낙천(樂天)·낙옹(樂翁), 호는 귤우정(橘宇亭). 경종(敬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랑 수복(守福)이고, 아버지는 감찰 영화(永和)이며, 어머니는 좌의정 허침(許琛)의 딸이다.
1501년(연산군 7)에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515년(중종 10)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곧 성균관학유가 되었는데, 왕이 유능한 인재를 탁용(擢用)하려 하자 병조판서 고형산(高荊山)이 변방판관의 적임자로 추천하였다.
1517년에 이조판서 남곤(南袞) 등이 그를 정자 유용(柳庸)과 함께 재능이 있다 하여 6품직에 승급시켰다. 1519년에 지평을 거쳐 황해도도사가 되었으나 사직하고 지평(砥平)에 일시 은거하였다가 병조좌랑이 되었는데,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파직되어 다시 지평에 은거하였다.
1521년에 동생 생원 철(哲)이 송사련(宋祀連)의 무고에 의하여 일어난 신사무옥에 연루되었을 때, 지란불고죄(知亂不告罪)와 교결역신죄(交結逆臣罪)의 누명을 쓰고 처형당하였다. 후일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지평의 운계서원(雲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정신(貞信)이다.
 
4)조형생(趙亨生, 1564~1628)
본관은 평양, 자는 달가(達可), 호는 둔곡(遯谷), 조욱의 손자로 내자시 봉사 인빈(仁賓)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전의이씨로 13세의 모상(母喪)을 당하여 어른과 같이 상례절차를 지켜 사람들이 “용문선생을 어어 받을 자는 이 아이”라고 하였다 한다. 항상 조부의 유훈을보고 성현의 경전을 탐구하여 뜻을 얻은 바 있어 글로 써 읊으며 경수(耕叟)라 자호(自號)하였다. 광해군의 폭정(暴政)이 극성한 때를 만나 용문산에서 살며 몸소 농사짓는 것을 업으로 삼고 문달(聞達)을 추구하지 않았다. 광해군에게 직언하다가 죄를 입은 유생들과 함께 1623년(인저 1) 학행(學行)이 있는 인재를 등용할 때 천거되어 사재감(司宰監) 주부(主簿)에 제수되었다. 그 후 공조좌랑과 예산현감으로 나아갔다가 관직을 사퇴하고 지평 둔촌(遁村)의 옛집에 돌아와 은거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발생하자 대가(大駕)를 따라 강화도에 들어갔으며 이듬해에 별세하였다. 저서가 많이 있었으나 난(亂)을 당하여 흩어져 전해지지 않는다. 평생을 검소한 의복으로 일관하여 악의악식(惡衣惡食)을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위엄 있는 용모와 엄숙한 성격이어서 정색(正色)하고 꿇어앉아 있으면 사람이 그를 공경하고 두려워하지 않는 자가 없어 송연(悚然)히 자세를 고치기 일쑤였다. 혹 부정(不正)한 색과 불선(不善)한 사람을 만나면 눈을 감고 그와 말하지 않았다.
 
5)조문형(趙文衡, 1617∼170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자는 민보(敏甫), 호는 둔촌(遁村). 현감 욱(昱)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익생(益生)이다. 김순(金洵)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으며, 윤휴(尹鑴)와 교유하였으나 그가 관직에 나가는 것을 반대하였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은 뒤 천거를 받아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제수되었다가 전생서주부(典牲署主簿)에 올랐다. 1682년 지례현감이 되었을 때 진휼을 잘하여 백성들이 비를 세워 공을 기리기도 하였으나, 1686년 반대파의 모함으로 한때 파직되기도 하였다.
1694년 홍원감목(洪原監牧)이 되어 오래된 폐단을 많이 제거하였다. 1700년 노직(老職)으로 당상관의 품계를 받았다. 향사(鄕祠)에 배향되었다.

운계서원은 덕촌리 서원마을 북쪽 산기슭 한적한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좌향은 남동향을 치하고 있고, 시설물로는 사당·삼문·강당 등이 있다. 강당은 근대 건축물로서 원내 행사시 유림의 화합 및 학문 강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1)고문서류
1798년에 올린 지평유생 박광한 상서를 비롯하여 홀기, 청금록, 향현사 홀기 등이 있다.
 
 
문서명
발급자
수취자
발급연도
내용
크기
1
지평유생
박광한상서
지평유생
박광한 등
相公閤下
戊午
1798추정
용문형제의 시호를 청함
111×67
2
홀기
운계서원
운계서원
己亥
(1859)
홀기, 축문, 진설도
31×29
3
청금록
운계서원
운계서원
癸未
(1943)
1943 9 18일부터 821일까지의 祭官명단
29×29
4
향현사홀기
향현사
향현사
18세기말로 추정
祝文式,鄕賢祠祝辭, 行禮笏記
17×408.5
 
2)현판: 운계서원중건사실기(雲溪書院重建事實記)
말미에 ‘임오양월일(壬午陽月日)’이라고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