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청풍서원(淸風書院)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불이리
   길 재(吉 再)
   1671년 (현종12년 1800년, 1928년 복설)
   
   
   문화재 사료 제 16호, 충남 지방문화재 10호, 현판은 박정희 대통령 친필
청풍사는 일명 불이영당(不二影堂)으로 금산읍에서 무주로 가는 37번 국도를 따라 동남쪽으로 약 7km되는 지점의 왼편에 있으니, 고려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인 야은 길재(冶隱 吉再)의 진영(眞影)과 위패를 봉안한 곳이다 청풍사 주변에는 길재가 손수 심었다고 전하는 소나무 두그루가 우뚝하여 상설(霜雪)의 빛이 계속되고 있고, 야은선생유허비(冶隱先生遺墟碑)와 해주 수양산(首陽山)의 청성묘(淸成廟)에 있는 주자의 글씨 ‘백세청풍(百世淸風)’의 4대자를 새긴 비가 비각 안에 서 있으며, 중국 이제묘(夷齊廟)에 스여 있는 지주중류(砥柱中流)라는 4대자를 새기고 서애 유성룡(西厓 柳成龍)이 음기를 쓴 비가 사우 입구 왼편에 있다.
부리면(富利面)은 본래 백제시대에 두시이현(豆尸伊縣)에 속해 있었고, 고려초에 부리현(富利縣)에 속해 있었다. 후에 금주(錦州)에 병합되었고, 그 땅은 중랑장 신면의 장원이 되었다. 길재는 고려 공민왕 2년(1353)에 선산의 봉계리(鳳溪里)에서 태어났다. 부친 원진(元進)이 금주지사(錦州知事)로 부임하였을 때, 길재도 함께 따라 왔다가 신씨의 가문에 장가들어 그곳에 살게 되었다. ‘불이(不二)’라는 지명은 고려가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될 때 함께 참여하지 않았으므로, 후인들이 그의 절의를 사모하여 ‘불사이군(不事二君)’의 문구를 따서 ‘불이리(不二里)’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길재의 탄생지인 선산에는 선생의 묘소와 손수 심은 대나무밭이 있고, 이미 금오서원(金烏書院)에 그를 향사하고 채미정(採薇亭)을 건축하였으며, 낙동강변에 ‘지주중류비(砥柱中流碑)’를 세워 길재의 절의를 사모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가 초년에 시묘살이하였던 금산 부리에서는 1671년(현종 12)에 불이사(不二祠)를 창건하여 1678년(숙종 4)에 봉안하였다. 그러나 후손 상복(尙復)과 협구(協龜)가 고을의 여러 선비들과 함께 사를 세워 진영을 모셨으나, 영조 17년(1741)의 서원남설 금령에 저촉되어 훼철되었다.
그 후 1761년(영조 3)에 금산군수 민백흥(閔百興, 1757.3.~1761.3. 재임)이 주선하여 해주 청성묘에 붙인 주자의 글씨 ‘백세청풍’ 4대자를 본떠 새긴 비를 유허에 세우고, 또 그 옆에 따로 작은 비를 세워 병계 윤봉구(屛溪 尹鳳九 1681~1767)와 역천 송명흠(櫟泉 宋明欽, 1705~1768)이 차례로 비문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그러나 훼철된 사당의 빈 터에는 풀만이 우거져 길재의 절의를 나타내고 제사를 받들 수 있는 곳이 없었기 때문에 선비들의 섭섭함과 한탄함이 되었다.
1800년(순조 원년) 가을에 당시의 도백(道伯)이었던 김달순(金達淳)이 이곳을 순시하다가 유허지가 황량함을 보고 선비들의 뜻을 따라 다시 사당을 세우기를 계획하여 이듬해에 착수하였다. 당시의 금산군수 홍희정(洪羲正, 1801.3.~1802.4. 재임)에게 공사를 지원하도록 지시하여 4년만인 1804년에 준공하였다.
그러나 1868년(고종 5)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다시 철폐되는 비운을 겪었고, 그 후 다시 복설은 되었으나 지금과 같은 위용을 갖추게 된 것은 1928년 청풍비각(淸風碑閣)을 창건할 당시에 청풍사(淸風祠), 청풍서원(淸風書院)을 중수함으로서 오늘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77년에 박정희 대통령이 친필휘호로 ‘청풍서원(淸風書院)’이라는 현판을 써서 걸게 되어 그 찬란한 빛을 더하게 되었던 것이다.

1)길재(吉再, 1353~1419)
고려말 조선초의 학자.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재보(再父), 호는 야은(冶隱) 또는 금오산인(金烏山人)이다. 고려말 1353년에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 봉계리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지금주지사(知錦州知事) 원진(元進)이며, 어머니는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추증된 김희적(金希迪)의 딸이다. 11세에 냉산 도리사(冷山 桃李寺)에서 글을 배웠고, 18세에 상산사록(常山司錄) 박분(朴賁)에게서 성리학을 들었다. 또 이색(李穡) ․ 정몽주(鄭夢周) ․ 권근(權近) 등 여러 선생의 문하에서 종유(從遊)하며 비로소 학문의 지론(至論)을 듣게 되었다.
1374년(공민왕 23)에 국자감에 들어가 생원시에 합격하고, 1383년(우왕 9)에는 사마감시에 합격하였다. 이해에 중랑장(中郞將) 신면(申勉)의 딸에게 장가 들었다. 이듬해에는 부친상을 당하여 부리에 장사하고, 3년동안 금주에서 우거하였다. 그 후에 비록 서울에서 벼슬하고 선산으로 돌아갔으나, 간간히 부친의 묘소 옆에 와서 살았으므로 그 후손들이 금주에서 대대로 세거하게 되었다. 1386년 진사시에 제6위로 급제하여 그 해 가을에 청주목 사록(司錄)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 때에 이방원(李芳遠)과 한 마을에 살면서 서로 오가며 정의가 매우 두터웠다. 1384년에 성균학정(成均學正)이 되었고, 이듬해 순유박사(詢諭博士)를 거쳐 성균박사(成均博士))로 승진되었다. 그 당시 공직에 있을 때에는 태학의 생도들이 집에 있을 때에는 양반자제들이 모두 그에게 모여들어 배우기를 청하였다.
1389년(창왕 1)에 문하주서가 되었으나 장차 나라가 망할 것을 알고, 이듬해 봄에 늙은 어머니를 모셔야 한다는 핑계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인 선산으로 돌아왔다. 1391년(공양왕 3)에 계림부(鷄林府)와 안변(安邊) 등지의 교수로 임명되었으나 모두 부임하지 않았으며, 부왕의 부음으로 듣고 채과(菜菓)와 혜장(醯醬) 따위를 먹지 않고 3년상을 행하였다. 그가 어머니를 효성을 다하여 봉양하니 아내 신씨도 그뜻을 본받아 옷가지를 팔아서라도 시어머니를 극진히 모시었다. 군사(郡事) 정이오(鄭以吾)가 이러한 그의 어려운 사정을 듣고 오동동(梧桐洞)의 묵은 밭을 주어서 봉양에 힘쓰도록 하였다.
1400년(정종 2) 가을에 세자 방원이 그를 불러 태상박사(太常博士)에 임명하였으나 글을 올려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는 뜻을 펴니, 왕은 그 절의를 갸륵하게 여겨 예를 다하여 대접하여 보내주고, 그 집안의 세금과 부역을 면제하여 주었다. 또 1403년(태종 3)에는 군사(郡事) 이양(李楊)이 그가 사는 곳이 외지고 농토가 척박하여 살기에 마땅하지 못하다 하여 율곡동(栗谷洞)의 전원으로 옮겨 풍요한 생활을 누리도록 하였고, 경상감사 남재(南在)가 가묘(家廟)를 지어 주므로 선생은 영세의 주거지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소용에 필요한 만큼만 남겨두고 나머지는 모두 되돌려 보냈다.
1418년(태종 18)에 아들 사순(師舜)이 관직에 임명되어 떠나갈 때 그는 다음과 같은 훈계의 말을 하였다.
 
임금으로서 신하를 먼저 부른 것은 삼대(三代: 夏 ․ 殷 ․ 周) 이후 드물게 있는 일이다. 네가 초야에 묻혀 있는 몸으로 임금의 부름을 입었으니, 비록 작록(爵祿)을 얻지 못하더라도 내가 고려를 잊지 못하는 마음을 본받아 너의 조선 임금을 섬긴다면 아비는 더 바랄 것이 없다. - 冶隱先生言行拾遺  卷上 「行狀」)
 
길재는 위로는 정몽주의 학통을 이었고, 그의 문하에서는 김숙자(金叔滋) 등 많은 학자가 배출되어 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 등으로 학통이 이어졌다.
1419년(세종 원년)에 67세 나이로 병을 얻어 위독하여 부인 신씨가 아들 사순을 귀가하도록 하자, 길재는 “임금과 아비는 동일한 것이므로 이미 임금께 갔으니 부음을 듣고 오는 것이 좋겠다”라고 하며, 사위 이효성(李孝誠)에게 상례를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의해 치루도록 유언하고 별세하였다. 아들과 사위는 유언에 따라 금오산의 동쪽, 낙동강의 서쪽 오포(烏浦)에 장사를 치루었다.
금산의 청풍사와 성곡서원 이외에도, 후일에 세상 사람들이 전국 각지에 선생의 절의와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유적들이 산재해 있다.

1) 비석류
(1) 백세청풍비(百世淸風碑)
‘백세청풍(百世淸風)’의 뜻은 ‘중국의 청성(淸聖)이라 불리우는 은나라 백이와 숙제의 청풍(淸風)이 백세에 영원하라는 의미이다. 중국의 대현인 주자가 쓴 휘호를 돌에 새겨 수양산에 있는 청성묘(淸風廟, 백이와 숙제를 모신 사당) 앞에 세운 것인데, 우리나라 해주에도 수양산(首陽山)이 있어 그 곳에 청성묘(淸風廟)와 청풍비(淸風碑)를 그대로 모방해서 세웠다.
퇴계 이황(退溪 李滉), 연천 홍석주(淵泉 洪奭周), 서유탁(徐有鐸)과 같은 명현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