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문창서원(文昌書院)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 상평리 626
   최치원(崔致遠)
   신라시대
   
   음력 10월 초3일
   
문창서원은 옥구향교 구내에 위치해 있다.
차전대와 마주 보는 곳에 담장으로 둘러싸인 정면 3칸 규모의 건물이다. 차전대에서 소요했다는 최치원 선생을 모신 사당인데 시호인 문창후를 서원명으로 쓴 것이다. 현재 걸려있는 문창서원이라는 편액은 신해년 박정희 대통령이 썼다고 한다. (1971년)
최치원선생은 신라시대 옥구현에서 태어나 후에 관리로 근무한 적이 있다는 구전이 전해지고 있다.

1)주벽-최치원(崔致遠, 857∼? )
신라 하대의 학자·문장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고운(孤雲) 또는 해운(海雲). 경주 사량부(沙梁部 또는 本彼部)출신. 견일(肩逸)의 아들이다.
신라 골품제에서 6두품(六頭品)으로 신라의 유교를 대표할 만한 많은 학자들을 배출한 최씨 가문출신이다. 특히, 최씨 가문 중에서도 이른바 ‘신라 말기 3최(崔)’의 한 사람으로서, 새로 성장하는 6두품출신의 지식인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세계(世系)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아버지 견일은 원성왕의 원찰인 숭복사(崇福寺)의 창건에 관계하였다.
최치원이 868년(경문왕 8)에 12세의 어린 나이로 중국 당나라에 유학을 떠나게 되었을 때, 아버지 견일은 그에게 “10년 동안에 과거에 합격하지 못하면 내 아들이 아니다.”라고 격려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뒷날 최치원 자신이 6두품을 ‘득난(得難)’이라고도 한다고 하여 자랑스럽게 말하고 있었던 점과 아울러 신흥가문출신의 기백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당나라에 유학한지 7년만인 874년에 18세의 나이로 예부시랑(禮部侍郎) 배찬(裵瓚)이 주관한 빈공과(賓貢科)에 합격하였다. 그리고 2년간 낙양(洛陽)을 유랑하면서 시작(詩作)에 몰두하였다. 그 때 지은 작품이 ≪금체시 今體詩≫ 5수 1권, ≪오언칠언금체시 五言七言今體詩≫ 100수 1권, ≪잡시부 雜詩賦≫ 30수 1권 등이다.
29세로 신라에 돌아오자, 헌강왕에 의해 시독 겸 한림학사 수병부시랑 지서서감사(侍讀兼翰林學士守兵部侍郎知瑞書監事)에 임명되었다. 894년에는 시무책(時務策) 10여 조를 진성여왕에게 올려서 문란한 정치를 바로잡으려고 노력하기도 하였다. 10여 년 동안 중앙의 관직과 지방관직을 역임하면서, 중앙 진골귀족의 부패와 지방세력의 반란 등의 사회모순을 직접적으로 목격한 결과, 그 구체적인 개혁안을 제시하기에 이른 것이다.
시무책은 진성여왕에게 받아들여져서 6두품의 신분으로서는 최고의 관등인 아찬(阿飡)에 올랐으나 그의 정치적인 개혁안은 실현될 수 없는 것이었다. 당시의 사회모순을 외면하고 있던 진골귀족들에게 그 개혁안이 받아들여질 리는 만무했던 것이다.
효공왕에게 선양(禪讓)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이르자 최치원은 신라왕실에 대한 실망과 좌절감을 느낀 나머지 40여 세 장년의 나이로 관직을 버리고 소요자방(逍遙自放)하다가 마침내 은거를 결심하였다. 당시의 사회적 현실과 자신의 정치적 이상과의 사이에서 빚어지는 심각한 고민을 해결하지 못하고 결국 은퇴의 길을 택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 같다.
그 뒤의 행적은 전혀 알 수 없으나, 물외인(物外人)으로 산수간에서 방랑하다가 죽었다고도 하며 또는 신선이 되었다는 속설도 전해오고 있다. 그러나 자살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새로운 주장도 있다.
저술로는 시문집으로 ≪계원필경≫ 20권, ≪금체시≫ 5수 1권, ≪오언칠언금체시≫ 100수 1권, ≪잡시부≫ 30수 1권, ≪중산복궤집≫ 1부 5권, ≪사륙집 四六集≫ 1권, 문집 30권 등이 있었다. 사서(史書)로는 ≪제왕연대력≫이 있었다. 불교에 관계되는 저술로는 ≪부석존자전≫ 1권, ≪법장화상전≫ 1권과 ≪석이정전≫·≪석순응전≫·≪사산비명 四山碑銘≫ 등이 있었다. 오늘날 전하는 것은≪계원필경≫·≪법장화상전≫·≪사상비명≫뿐이고, 그 외는 ≪동문선≫에 시문 약간, 사기(寺記) 등에 기(記)·원문(願文)·찬(讚) 등 그 편린만이 전한다.
글씨도 잘 썼다. 오늘날 남아 있는 것으로는 쌍계사의 <진감선사비문>이 유명하다. 그리고 전해오는 많은 설화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조선시대 김집(金集)의 ≪신독재전집 愼獨齋全集≫에 실린 <최문헌전 崔文獻傳>이 있다.

자천대(紫泉臺)
전라북도 문화재 자료 제116호
자천대는 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바닷가의 자그마한 바위산 위에 대사(臺榭) 한 채가 세워져 있었고 정자 아래쪽 바위틈 사이에 옹달샘이 있어 불그스레한 물이 어찌나 맑고 향기로운지 그 물을 마시면 정신이 맑아지고 심신이 강건하여 진다고 하여 대사(臺榭) 이름을 자천대(紫泉臺)라고 불렀다고 한다.
자천대는 언제 세워졌는지는 모르나 옥구향전(沃溝鄕傳)에 의하면 문창후 고운 최선생의 어린시절 독서대(讀書臺)라고 전하여 지고있고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도 문창후 고운 최선생의 소유처(所遊處)로 알려져 있으며 예로부터 시인 목객들이 즐겨찾는 유적명소로 알려져 있는곳이다.
왜정말기(1945년경) 군산비비행장 확장공사로 말미암아 붕괴의 액(厄)을 당하게 되자 당시 최학수 옥구군수(崔學洙 沃溝郡守)와沃溝儒林들이 합심하여 현위치(옥구향교 경내)에 이건중창(移建重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