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운계서원(雲溪書院)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하림리
   정신보(鄭臣保) 정인경(鄭仁卿) 정인기(鄭仁耆) 정인함(鄭仁涵) 정인흡(鄭仁洽) 정인준(鄭仁濬)
   1740년(영조 16)
   
   9월 27일
   가남정(伽南亭)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80호(1983.12.20지정)
운계서원은 1740년(영조 16) 세덕사(世德祠)로 창건되었다. 정신보(鄭臣保)와 정인경(鄭仁卿)을 주향하고 정인기(鄭仁耆)와 정인함(鄭仁涵), 정인흡(鄭仁洽), 정인준(鄭仁濬)을 배향하였다. 본래 서산 정씨의 세덕사로서 1862년(철종 13)에 승호하여 서원이라 하였다. 철종 때 이와 같이 서원으로 승격되었으나 1868년(고종 5) 훼철되었다. 그 후 정자를 세워 사우정(四友亭)이라고 하였다.

1)주벽-정신보(鄭臣保)
서산 정씨(瑞山鄭氏)의 시조(始祖)는 송(宋)나라에서 원외랑(員外郞)을 지낸 정신보(鄭臣保)이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그는 원래 중국(中國) 절강(浙江) 사람이다. 송(宋)나라가 망(亡)하자 신보(臣保)가 바다를 건너 고려로 망명(亡命)하여 서산(瑞山)에 정착 세거(定着世居)하게 된 것이 서산 정씨의 시초이다. 원종 10년(1269) 인주수령으로 있을 때 서북면병마사 최탄(崔坦)의 반역으로 몽고사신 탈타아(脫朶兒)에게 붙잡혀 의주부사로 재임 중이던 고려 충렬왕 대의 문신 김효거, 정주 수령 한분 등 21인과 함께 몽고로 붙들려갔다가 1272년에 풀려났다.
 
2)정인경(鄭仁卿, 1237~1305)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서주(瑞州 :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 인주(麟州 : 지금의 평안북도 의주)의 수령을 지낸 신보(臣保)의 아들이다. 처음 몽고어 통역관으로 출발했으나 고종 말 몽고병의 침입 때 종군해 야습으로 전공을 세워 제교(諸校)에 보임되었다.
1269년(원종 10) 세자(뒤의 충렬왕)가 원나라에 갈 때 시종하였다. 세자가 돌아오다가 파사부(婆娑府)에 이르렀을 때, 임연(林衍)의 변(變)을 고하는 자가 있어 인주의 수령으로 있던 아버지에게 이를 알려 세자를 다시 원나라로 되돌아가게 하였다.
이 공으로 1274년(충렬왕 1) 시종일등공신(侍從一等功臣 : 高麗史 정인경열전에는 2등 공신으로 되어 있으나 여기에서는 세가의 기록을 따름.)에 올랐다. 또한 고향인 부성현(富城縣)이 서산군(瑞山郡)으로 승격되었다.
1279년 장군으로 원나라에 가서 일본 원정준비에 홍다구(洪茶丘)가 간섭하지 못하게 할 것을 건의하였다. 1282년 친종장군(親從將軍)으로서 요동(遼東)·심양(瀋陽)에 가서, 이듬해에는 대장군으로 요양(遼陽)·북경(北京)에 가서 유민(流民)들을 추쇄(推刷)해 왔다. 1288년 상장군에 올랐다.
1290년 동녕부(東寧府)를 고려에 귀속시키는 데 공을 세워 부지밀직(副知密直)에 오르고, 서북면도지휘사로서 서경유수가 되었다. 1292년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에 올랐으나 나라에서 혼인을 금하는 기간을 어겨 섬에 유배되었다.
1299년 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어 정조사(正朝使)로 원나라에 다녀왔다.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거쳐 중찬으로 치사했으며, 벽상삼한삼중대광추성정책안사공신 (壁上三韓三重大匡推誠定策安社功臣)의 호를 받았다.
성품이 정직하고 몽고어에 능해 통역관으로 이름이 알려져 원나라로부터 무덕장군 정동성이문관 (武德將軍征東省理問官)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3)정인기(鄭仁耆, 1544~1617)
자는 덕유(德裕)이고 호는 문암(文庵)이며,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성주(星州)에 거주하였다. 그는 1544년(중종 39년)에 아버지 건(健)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정인홍의 종제(從弟)다.
정인기는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고, 남명선생을 배알할 때, 남명선생은 그의 학문이 독실하다고 하여 허여하였다(

1)가남정(伽南亭)-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80호(1983.12.20지정)
조선 명종 때 생존했던 정인기, 정인함, 정인철, 정인지 4형제를 위하여 문중에서 지은 정자이다. 건물은 앞면 4칸·옆면 2칸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정자 앞에는 금월간신도비가 있다.


참고-합천군사, 1997.
창원대학교 경남학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