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작성일 : 13-12-05 15:32
2015년도 등재신청서 제출 대상으로‘한국의 서원’선정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8,459  


報道資
[2013. 11. 28.]
보도시점
배포 즉시
담 당 과
국제협력과
전화번호
042-481-4737
담 당 자
(e-mail)
안진영(jin0214@ocp.go.kr)
F A X
042-481-4759
 
문화재위원회(세계유산분과) 회의 결과
-2015년도 등재신청서 제출 대상으로한국의 서원선정 등-
 
문화재청은 지난 1126일 오후 2시 국립고궁박물관 회의실에서 개최된 제4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위원장 이혜은) 회의에서 2015년도 세계유산 등재신청서 제출 추진 대상으로 한국의 서원선정했다.
 
이번에 등재 추진 대상으로 선정된 한국의 서원현존하는 한국의 600여개 서원 중에서 한국 서원의 특징을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도동, 돈암, 무성, 필암, 옥산, 병산, 소수, 남계, 도산서원 등 총9개소로 구성되어 있다. 동 유산은 지성계층 사림(士林)이 조선의 성리학을 성숙실현시킨 공간이며 건축 구조와 형식이 자연과 일체가 되는 경관을 완성하고 있는 점 등에서 세계유산의 주요 등재 기준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지닌다. 향후 문화재청과 관련 기관에서는 20151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을 목표로 한국의 서원세계유산 등재 신청서 작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열린 세계유산분과회의에서는 2014년 세계기록유산 등재신청 대상으로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가 선정되고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신청 대상으로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한국의 전통산사가 선정되는 등 유네스코 등재유산 관련 주요 사항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향후 문화재청에서는 2015년도 세계유산 등재신청서 제출 추진 대상으로 선정된 한국의 서원’, 2014년도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대상으로 선정된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및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신청 대상으로 선정된 고령 지산동 대가야고분군한국의 전통산사에 대하여, 동 유산이 유네스코 등재유산으로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해 나갈 계획이다.
 
금번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회의록은 문화재위원회 운영 지침에 의거, 회의 종료일로부터 7일 이내에 문화재청 누리집(www.cha.go.kr 행정정보-문화재위원회-회의록 공개)을 통해 공개된다.
 
붙임 : 2015년도 세계유산 등재신청서 제출 추진 대상(한국의 서원) 소개 1. .
 
[붙임] 세계유산 등재 우선 추진 유산 소개
 
한국의 서원
유산개요
       ㅇ  유산명 : 한국의 서원
      
       ㅇ 대상서원(9개소) : 도동, 돈암, 무성, 필암, 옥산, 병산, 소수, 남계, 도산서원
* 현재 남한에 있는 서원 637개중 사적으로 지정된 9개소
                                   - 관련 지자체 : 대구광역시(달성), 충청남도(논산), 전라북도(정읍), 전라  남도(장성), 경상북도(경주, 안동, 영주), 경상남도(함양)
 
      ㅇ 세계유산적 가치
          - 조선시대의 서원은 사립 교육기관을 대표하는 시설로서, 중세 동아시아의  중요한 사상 중의 하나인 성리학이 조선에 전래되어 조선 사회에 정착형성한 산실이었음. 중국의 주희가 집대성한 성리학이 서원에서 중국, 일본과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게 됨.
         - 조선시대의 서원은 성리학인 지향하는 자연관과 한국의 문화적 전통이 반영된 교육 유산의 특출한 전형임. 특히 서원의 건축 공간은 성리학적 가치관, 세계관, 자연관이 반영된 물리적 표상임.
        
        -

관리자 13-12-05 15:36
 
- 서원의 공간은 유식공간, 강학공간, 제향공간으로 구성되는 독특한 구조임. 또한 이 공간의 입지는 건축과 자연이 하나로 어우러지도록 택해져 자연경관과 서원의 건축이 하나를 이룸.
  -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사상과 활동의 보고로써 유교의 예(禮)가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존속된 곳임. 또한 지역사회의 지성사적‧정신문화적 유서가 서려있는 현장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