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한국의 9대서원 - 소수서원


 
작성일 : 12-10-18 15:21
소수서원 역사편년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11,269  


 
연월
개요
주관자
원 장
기 사
문헌/비고
1541년
5월
창건준비 주세붕
1541년 [중종36년] 5월, 신재(愼齋)주세붕이 풍기군수에 부임, 3일만에 회헌의 옛마을 순흥을 찾았다.[그때 順興府는 금성대군사건으로 폐지되어, 풍기군에 병합되어 있었음] 그 길에 순흥읍터에서 북쪽 약3리쯤인 숙수사(宿水寺)에 들렀다. 숙수사는 회헌이 소년시절 글읽던 절로서, 신재의 기록에는 폐지(廢址)라 했으니, 그때는 이미 절은 없어지고 빈터만 남아있었던 듯하나, 혹은 그때까지 절이 있었는데, 서원을 짓기위해 철거시켰다는 설도 있다. 마치 거북이 엎드린 형상으로 따로이 솟아 도사린 영귀봉(靈龜峰)을 배경으로 자리한 숙수사터는 소백산에서 근원한 죽계(竹溪)의 맑은 여울이 바로 무릎밑에 못을 이루고, 동쪽으로 물을 격하여 마주한 연화봉(蓮花峰)기슭 푸른 절벽이 못물을 그림자를 드리워, 그 산수풍광이 중국의 여산(廬山)에 내리지 않는다고 신재는 찬성(贊成)했거니와, 거기는 늘 흰구름이 골짜기에 서려있다고 하여, 신재는 이름하여 白雲洞이라 했다.(順興志엔 「본래는 船乎洞」이었다고 함) 백운동을 거닐면서 거기 회헌을 제사하는 사당을 세우기로 뜻을 정한 신재는 그때 영남에 심한 흉년으로, 어려운 상황임을 무릅쓰고 건설계획을 서둘렀다.
1542
창건 주세붕
1542년 [중종37년] 8월 15일 역사를 시작, 土地神에 개기(開基)제사를 지내고 터를 다듬는데, 한 자 남짓 땅 밑에서 놋쇠와 황금이 1백20근이나 나오는 기적(奇蹟)이 있었다.(그것으로 祭器와 많은 서책을 마련하여 서원에 비치했다.)
1543
창건
1543년(중종38년) 사당이며 강당 등 30여칸이 완성되었고, 주자(朱子)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본받아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라 이름하고, 그 8월11일 회헌의 위패와 함께 그 영정(影幀)을 봉안했다.
▲ top
1 배향중흥 주세붕
1544년 {중종39년] 9월 1일에 안축·안보(安軸·安輔 형제:회헌의 再從孫,고려 충렬∼忠穆王때의 학자 名臣)를 배향(配享)하였다. 주자의 백록동서원[註3]의 예에 의하여 학규를 제정하고 유생 10명을 상거하기로 하고, 그 경비에 충당하기 위하여 전토와 노비를 제급(題給)하고 또 유지(有志) 황빈(黃彬)이 기증한 조(租) 75석을 기금으로 보(寶, 재단)를 만들어 이자를 거두어 경비에 보충하게 되었다. 고을의 生員 몇사람과 고을 선비 김중문(金仲文)에게 관리와 운영을 맡게 하여, 여기서 학문을 탐구할 선비를 불러 모으매, 사방에서 많은 학도가 모여들었다.
1
주세붕
전임
주세붕
1545년 [명종1년 乙巳] 5월 신재가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으로 전임하다.
64
1
소수
주세붕
64
1 중흥 안현
서원의 기초는 명종 원년(1546)에 회헌의 후손 설강(雪江) 안현(安玹)이 경상도관찰사로 부임한 뒤에 더욱 튼튼하게 되었다. 안현은 안향의 10대손으로서 뒤에 벼슬이 의정부 좌의정까지 올라갔거니와, 그가 경상감사(慶尙監司)로 임명된 것은 주세붕이 풍기군수를 물러난 지 약 반년 후인 명종 원년(1546) 정월 17일이고, 퇴임한 것은 다음해 2월 19일이다. 그는 감사(監司) 재임중 재포(齋浦)의 어기(漁基, 어장) 3처와 영덕의 염분(鹽盆) 2좌9坐)를 백운동서원에 소속시켜 유생을 공궤하는 어염(魚鹽)의 걱정을 덜게 하고, 속공 노비 10여구를 제급하고 또 관하 각 고을에 명하여 혹은 백미, 혹은 장태(醬太), 혹은 등유(燈油), 기타 잡물을 보내게 하고 여유가 있으면 존본취리(存本取利)하여 전지를 구입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백운동서원에는 토지 약 30결과 노비 수십명을 보유하고 있었다.[註5]
이와 같이 백운동서원이 설립된 뒤 도내의 유생이 운집하여 학문을 토론하고 제술공부도 하여 과거에 내제하는 자가 많이 나타나 학문연구와 지방교화에 크게 이바지하게 되었다.
▲ top
1548
사액
퇴계이황
아직 중앙에서는 알지 못하는 한 개의 사설 기관에 지나지 않는 것이었다. 이에 조정에 상주하여 국가에서 공인하는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발전시킨 것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이다. 이황은 안현이 경상감사에서 물러난지 1년후인 명종 3년(1548) 10월에 풍기군수가 되어 다음해 12월에 병으로 사직하였는데, 그는 사직할 때 감사 심통원(沈通源)에게 상서하여 백운동서원의 건립전말(建立顚末)을 상세히 기술하고, 송나라 백록동서원의 고사에 의하여 편액을 선사(宣賜)하고 서적을 반강(頒降)하고 토지와 노비를 하사하여 유생들이 귀의(歸依)할 수 있게 하기를 청하였다. 대개 이러한 일은 임금의 명령이 아니면 중간에서 폐지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건의한 것이었다. 감사 심통원이 이것을 임금에게 전계(轉啓)하니, 명종은 대신에게 수의(收議)하여 토지와 노비 및 어전(漁箭), 염분은 주세붕과 안현이 조치한 것이 넉넉하므로 더 주지 아니하였으나, 서원의 이름을 소수서원이라 하고 편액을 새겨서 하송(下送)하는 동시에 사서 · 오경 · 성리대전 각 1부씩 하사하였다. 이것이 명종 5년(1550) 3월의 일이다.[註6] 이로써 소수서원은 국가의 공인하에서 발전하게 되었다.
안향의 영정은 본래 순흥 향교에 있었고 순흥은 본래 행정구역상 군수보다 높은 부사(府使)를 수령으로 하는 부(府)였으며, 풍기군과 영주현이 모두 그 예하(隷下)에 있었다. 그런데 세조 3년(1457)에 순흥부의 아전 이보흠(李甫欽)이 그 곳에 귀양 와 있던 금성대군(錦城大君)과 더불어 단종복립운동(端宗復立運動)을 모의하였기 때문에 부를 폐지하고 풍기군에 부속시켰으므로, 향교에 있던 안향의 영정은 서울 안향의 종가로 이안되었다. 이 때에 이르러 주세붕(周世鵬)이 건립하고 안향을 봉사하게 되자 안향의 10대 종손 안정(安珽, 당시 주서)이 그의 집에 있는 안향의 영정을 회헌사(晦軒祠)로 이안하여 지금까지 소수서원에 봉안되어 있다.[註2]
《사액서원 자료》

소수서원(紹修書院)이 설치된 뒤 전국 각지에 많은 서원이 설치되었다. 소수서원 다음으로 설립된 것은 해주의 수양(首陽)(문회)서원인데, 수양서원(首陽書院)도 또한 주세붕이 창립한 것이다. 주세붕은 인종 원년(1545)에 풍기군수로부터 중앙정부로 들어와 호조참판을 지내고 명종 4년(1549)에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는데, 해주가 해동공자라 하던 최충(崔庶)의 고향이기 때문에 해주에 최충사를 짓고 그 앞서 수양서원을 세워 소수서원의 예에 의하여 토지와 노비를 제급(題給)하였다. 그러나 사액(賜額)을 받은 것은 영천의 임고서원(臨皐書院)보다 1년 후의 일이다
[註7]. 이제 실록과 『문헌비고(文獻備考)』에 의하여 임진왜란 이전의 사액서원을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순흥 소수서원(안향):중종 38년건(建), 명종 5년사액(賜額)
해주 수양(문헌)서원(최충):명종 4년건(建), 동10년사액
영천 임구서원(정몽주):명종 9년건(建), 동년사액
함양 남계서원(정여창):명종 7년건(建), 동21년사액
의성 장천(영계)서원(김안국):명종 11년건(建), 선조 9년사액
순천 옥천서원(김광필):명종 19년건(建), 선조 원년사액
선산 김명서원(길재):선조 3년건(建), 동8년사액
청주 죽수서원(조광조):선조 4년건(建), 동년사액
양주 도봉서원(조광조):선조 6년건(建), 동년사액
개성 고양서원(정몽주):선조 6년건(建), 동8년사액
현풍 도동서원(김광필):선조 6년건(建), 동년사액
경구 옥산서원(이언적):선조 6년건(建), 동년사액
영천 이산서원(이황):동상
성주 천곡서원(주자):선조 6년건(建), 동년사액
예안 강산서원(이황):선조 7년건(建), 동8년사액」

이 밖에 미사액(未賜額)이 약간 있으나 그 수가 많지 않다. 이와 같이 임진왜란 이전에는 서원의 수가 많지 않고 또 서원에 배향된 인물은 모두 자타가 공인하는 명현이었으며 원생도 열심히 공부하여 학문연구와 지방교화에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후 서원이 남설되어 그 폐해가 적지 아니하였다. 서원은 본래 명현(名賢)을 봉사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나, 후세에 이르러서는 벼슬이 높으면 서원을 세우고 가족이 성(盛)하면 서원을 세우고 혹은 한 사람의 서원을 수십여곳씩 첩설(疊設)하는 예도 있어 의론이 엇갈려 종종 난장판을 이루기도 하였다.
서원 뿐만 아니라 향사(鄕祠)도 또한 남설(濫設)되었다. 향사는 국가를 위하여 목숨을 마친 충신 열사를 봉사하기 위하여 지방 유림들이 건설한 것으로서, 진천의 김유신사(金**信祠), 진주의 은열사(殷烈祠, 姜民瞻)와 같이 고려 이전에 건립한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임진왜란 이후에 건설한 것이다. 선조시대에 건설한 순천의 충민사(李舜臣), 광주의 보충사(高敬命) · 의열사(金千鎰), 동래의 충렬사(宋象賢)를 비롯하여 각지에 많은 향사가 설립되었는데, 『문헌비고(文獻備考)』에 의하여 전국의 서원과 향사를 총계하면 약 650여개소에 이르고 있다. 서원과 향사는 많은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토지는 면세되었으므로 국가경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다. 서원에는 노비뿐만 아니라 양민이 몰락하여 병역을 기피하는 자가 많으므로 군사행정에 또한 큰 차질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서원에 입학하여 공부하는 원생들은 우월감을 가지고 향교의 교생(校生)을 노예와 같이 멸시한 까닭에 향교가 무력하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 양반이 향교에 입학하지 않고 아전(衙前)들이 향교를 점령한 것은 이 까닭이다. 당쟁이 발전함에 따라 서원은 당쟁의 소굴이 되어 자기 당에 불리한 일이 있으면 소위 만인소(萬人疏)를 만들어 서울에 올라와 정치를 어지럽히는 일도 많았다. 그러므로 인조 때부터 서원의 폐해를 논하여 서원의 신축과 첩설(疊設)을 금하고 사액을 주지 않기로 결정한 것이 여러 번 있었으나 실행되지 못하고 서원과 향사는 계속 증가하기만 하였다.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