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한국의 9대서원 - 필암서원


 
작성일 : 12-09-14 16:37
필암서원의 자료정리 현황과 과제(2)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9,157  


7) 1998, 전남 서원의 목판, 전라남도 -

1997년과 1998년에는 소장 목판에 대한 조사를 실사하였다. 전라남도 지원으로 전남대학교문헌정보연구소에서 전남 소재 서원에 대한 목판 일괄조사(조사위원 송일기·전종주·김희태·노기춘)를 실시했는데, 필암서원 소장 목판도 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조사 결과 하서전집목판 258, 하서선생전집 목판 392, 초천자문 목판 18, 무이구곡 목판 13,유묵 4, 백련초해 목판 13, 인종필 묵죽도 목판 3판이 확인 되었다. 조사 내용은 단행본으로 간행되었으며, 전라남도에서는 이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여 1999년에 필암서원 소장 목판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하서 김인후의 문집은 그가 세상을 뜬지 8년만인 1568(선조 1)에 처음 간행되어 1686(숙종 12)중간본과 17971802년에 걸쳐 세 번 간행되었다. 초간본 목판 1, 중간본 목판 258, 세 번째의 목판 391매로 총 650매이다.

광해군 2(1610)에 새긴 초서천자문 18(1610) 해자무이구곡 18(1610), 선조1(1568) 새긴 백련초해 13판과 유묵 4, 그리고 인종이 김인후에게 하사한 묵죽도판 3판으로 선조 1(1568)과 영조 46(1770)에 새긴 것이다.

안진경체에 바탕한 김인후의 초서체 글씨는 당시 성리학자 특히 호남 학자들 사이에 전형적인 모범 글씨가 되었다.백련초해 100가지 싯구를 한글로 해석한 것인데,백련초해한글판 가운데 연대가 가장 앞섰고 인종의 판체인 묵죽도판은 판각의 변천을 알 수 있는 것으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4. 기록자료의 연구와 홍보·활용 현황

1) 필암서원에 대한 기록자료의 연구와 홍보·활용에 대해서 살펴보자. 필암서원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1972년에 제기(祭器)에 관한 내용으로 학위논문이 나온다. 1975년에는 필암서원 문서가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 제 587호로 지정된다. 1949 필암서원지 구서적편에 기록된 서원 관련 성책문서 14책과 고문서 64매이다. 그리고 1976년에는 향토사분야에서, 1981년에는 역사학 분야에서 필암서원 연구 논문이 발표된다. 1983년에는 소장 고문서에 대하여 전남대박물관에서 학술조사가 실시되어 고문서자료집이 간행된다. 1988년에는 목포대박물관에서 전남의 서원 사우를 조사하면서 사액 서원사우편에서 연혁,인물, 건축, 자료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

남기숙, 이조시대 祭器에 관한 연구 -서울 문묘와 전남 필암서원의 사례중심-,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1972

이종일, 필암서원과 하서선생의 사상,<장성향토문화> 3, 향토문화개발협의회·장성문화원, 1976

송정현, 필암서원 연구, <역사학연구> 10, 전남대사학회, 1981

김상오, 하서 김인후의 생애와 문묘종향의 경위, 전북사학 제5, 전북대학교사학회, 1981

변시연, 하서선생과 필암서원, <상서> 4, 1982

류정동, 하서 김인후의 天命圖에 관하여, 동방사상론고, 유승국박사화갑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83

이상보 , 하서 김인후의 국문학 연구, 어문학 제3,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1984

김상일, 하서선생약사, 전남대학교출판부, 1984

정익섭, 호남가단에서의 하서 김인후의 위치, 동양학 제17,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7

목포대학박물관·전라남도, <전남의 서원·사우> -사액서원·사우편-, 1988

오병무, 하서 김인후의 성리철학과 異端·異說에 대한 그의 비판, 전라문화연구 3, 전북향토문화연, 1988

박준규, 하서 김인후와 그의 시문학, 어문논총 9, 전남대어학연구소, 1989

2) 다음으로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건축과 역사분야에서 연구가 어어진다. 먼저 건축과 조경 분야에서는 건축적 특성과 공간배치, 식재현황과 정비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조상순, 필암서원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논문, 1997

조상순·이상해, 필암서원의 건축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7-2, 1998.

이원호, 장성 필암서원(筆巖書院)의 식재현황과 정비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2011.

3) 그리고 역사분야에서는 소장 고문서의 분석, 배향인물과 서원 운영 자료의 분석, 지역 유림의 동향과 추배 활동 등을 통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안승준, 1745·6년의 필암서원) 노비보(奴婢譜), <고문서연구> 4-1, 1993.

전형택, 조선후기 필암서원의 경제기반과 재정, <역사학연구> 11. 1997

윤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