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남계서원(灆溪書院)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586-1
   정여창(鄭汝昌) 강 익(姜 翼) 정 온(鄭 蘊)
   1552년(명종 7)
    1566년(명종 21)
   2월, 8월 중정(中丁)
   사적 제499호(2009.05.26지정) 일두선생문집책판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66호(1979.12.29지정) 개암선생문집책판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67호(1979.12.29지정)
정여창(鄭汝昌)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지방민의 유학교육을 위하여 1552년(명종 7)에 지었다. 1566년(명종 21)에 나라에서 ‘남계(灆溪)’라는 사액을 내려 공인과 경제적 지원을 받게 되었다. 정유재란(1597)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1603년(선조 36)에 나촌으로 옮겨지었다가, 1612년(광해군 4) 옛 터인 지금의 위치에 다시 지었다. 숙종 때 강익(姜翼)과 정온(鄭蘊)을 더하여 모셨다. 따로 사당을 짓고 유호인(兪好仁)과 정홍서(鄭弘緖)를 모셨다. 별사는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정여창을 모신 서원은 전국적으로 9곳에 이르며, 그 중 주된 곳이 남계서원이다. 소수서원에 이어 두 번째로 세워진 남계서원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존속한 47개 서원중의 하나이다. 2009년에는 사적 제499호로 지정되었다.

1)주벽-정여창(鄭汝昌, 1450~150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백욱(伯勗), 호는 일두(一蠹)·수옹(睡翁). 판종부시사 지의(之義)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전농시사 복주(復周)이며, 아버지는 함길도병마우후 증한성부좌윤 육을(六乙)이다. 어머니는 목사 최효손(崔孝孫)의 딸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혼자서 독서에 힘쓰다가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학문을 연마하였다. ≪논어≫에 밝았고 성리학의 근원을 탐구하여 체용(體用)의 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1480년(성종 11)에 성종이 성균관에 유시를 내려 행실을 닦고 경학에 밝은 사람을 구하자 성균관에서 그를 제일로 천거하였다. 지관사 서거정(徐居正)이 그를 경연에서 진강하게 하려 했으나 나가지 않았다. 1483년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8월에는 성균관 상사(上舍)의 동렬(同列)에서 그를 이학(理學)으로 추천하였다. 1486년 어머니가 이질에 걸리자 극진히 간호했으며, 어머니가 죽자 최복(衰服)을 벗지 않고 3년 동안 시묘하였다.
그 뒤 지리산을 찾아가 진양의 악양동(岳陽洞) 부근 섬진(蟾津)나루에 집을 짓고 대와 매화를 심으며 여기에서 평생을 마치고자 하였다. 1490년 참의 윤긍(尹兢)에 의해 효행과 학식으로 추천되어 소격서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자식의 직분을 들어 사양하였다.
성종은 그의 사직상소문의 끝에 “너의 행실을 듣고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 행실을 감출 수 없는데도 오히려 이와 같으니 이것이 너의 선행이다.”라고 쓰고 사임을 허가하지 않았다. 그 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예문관검열을 거쳐 시강원설서가 되었는데 이 때 정도(正道)로써 동궁(연산군)을 보도했으나 동궁이 좋아하지 않았다.
1495년(연산군 1) 안음현감(安陰縣監)에 임명되어 백성들의 질고(疾痼)가 부렴(賦斂)에 있음을 알고 편의수십조(便宜數十條)를 지어 시행한 지 1년 만에 정치가 맑아지고 백성들로부터 칭송을 들었다. 감사는 해결하기 어려운 옥사가 있으면 그를 만나서 물어본 뒤에 시행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판결에 의문나는 것이 있으면 원근에서 그를 찾아와 판결을 받았다.
민사(民事)를 돌보는 여가로 고을의 총명한 자제를 뽑아 친히 교육하였고, 춘추로 양로례(養老禮)를 행하였다. 1498년 무오사화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 1504년 죽은 뒤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 중종대에 우의정에 증직되었고, 1610년(광해군 2) 문묘에 승무(陞廡)되었다. 나주의 경현서원(景賢書院), 상주의 도남서원(道南書院),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 합천의 이연서원(伊淵書院), 거창의 도산서원(道山書院), 종성의 종산서원(鍾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일두유집 一蠹遺集≫이 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2)정온(鄭蘊,1569~164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휘원(輝遠), 호는 동계(桐溪)·고고자(鼓鼓子). 별제 옥견(玉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좌승지 숙(淑)이고, 아버지는 진사 유명(惟明)이다. 어머니는 장사랑 강근우(姜謹友)의 딸이다.
1601년 (선조 39)에 진사가 되고,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시강원겸설서·사간원정언을 역임하였다. 임해군옥사에 대해 전은설(全恩說)을 주장했고, 영창대군이 강화부사 정항(鄭沆)에 의해서 피살되자 격렬한 상소를 올려 정항의 처벌과 당시 일어나고 있던 폐모론의 부당함을 주장하였다.
이에 광해군은 격분하여 이원익(李元翼)과 심희수(沈喜壽) 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문할 것을 명하고 이어서 제주도에 위리안치하도록 하였다. 그 뒤 인조반정 때까지 10년 동안 유배지에 있으면서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중국 옛 성현들의 명언을 모은 ≪덕변록 德辨錄≫을 지어 이것으로 자신을 반성하였다.
인조반정 후 광해군 때 절의를 지킨 인물로 지목되어 사간·이조참의·대사간·대제학·이조참판 등 청요직(淸要職)을 역임하였다. 특히, 언관에 있으면서 반정공신들의 비리와 병권장악을 공격하였다. 또 폐세자(廢世子 : 광해군의 아들 祬)와 선조의 서자 인성군 공(仁城君 珙)의 옥사에 대해 전은설을 주장, 공신들을 견제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행재소(行在所)로 왕을 호종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이조참판으로서 명나라와 조선과의 의리를 내세워 최명길(崔鳴吉) 등의 화의주장을 적극 반대하였다. 강화도가 함락되고 항복이 결정되자 오랑캐에게 항복하는 수치를 참을 수 없다고 하며 칼로 자결했으나 목숨은 끊어지지 않았다.
그 뒤 관직을 단념하고 덕유산에 들어가 조〔粟〕를 심어 생계를 자급하다가 죽었다. 숙종 때 절의를 높이 평가하여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어려서부터 당시 경상우도에서 명성이 자자하던 정인홍(鄭仁弘)에게 사사하여 그의 강개한 기질과 학통을 전수받았다.
1607년 정인홍이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의혹을 일으키는 유영경(柳永慶) 등 소북파를 탄핵하다가 처벌을 받자 정인홍을 위해 변호 상소를 올렸다. 광해군 때는 임해군과 영창대군의 옥사를 두고 비록 의견이 달랐지만 정인홍에 대한 의리는 변하지 않아 인조반정 후 정인홍의 처벌을 반대하였다.
그러나 이후 격화된 당쟁 속에서 그와 그의 후손들은 남인으로 처신했고, 정인홍이 역적으로 심하게 몰리면서 정구(鄭逑)를 사사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의 현실대응 자세는 조식(曺植)에서 정인홍으로 이어지는 강개한 기질을 이어받아 매사에 과격한 자세를 견지하였다. 그것은 영창대군 옥사 때의 상소나 대청관계에서의 척화론에서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조선 후기 숭명배청사상이 고조되는 분위기 속에서 김상헌(金尙憲)보다 크게 추앙받지 못한 것은 색목(色目)이 노론이 아니었는데 연유한다. 허목(許穆)·조경(趙絅) 등 기호남인(畿湖南人)과도 깊은 관계를 가져 이황(李滉)-정구-허목으로 이어지는 기호남인학통 수립에도 큰 구실을 하였다. 광주(廣州)의 현절사(顯節祠) 제주의 귤림서원(橘林書院), 함양의 남계서원(灆溪書院)에 제향되었다. 그의 생가는 중요민속자료 제205호로 지정, 보존되고 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3)강익(姜翼, 1523~1567)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중보(仲輔), 호는 개암(介庵) 또는 송암(松庵). 함양 효우촌(孝友村)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승사랑(承仕郎) 근우(謹友)이며, 어머니는 남원양씨(南原梁氏)로 승사랑 응기(應麒)의 딸이다.
조식(曺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549년(명종 4) 진사가 된 뒤, 벼슬에 뜻을 두지 아니하고 오직 학문에만 열중하였다. 1566년 영남유생 33인의 소두(疏頭)가 되어 정여창(鄭汝昌)의 신원을 청하였다, 1552년에 남계서원(灆溪書院)을 건립하여 정여창을 제향하였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소수서원 다음으로 세워진 것이다.
학행으로 추천되어 소격서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부임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후학을 지도함에 있어 극기와 신독(愼獨)을 권장하여 말보다는 실천위주의 학문을 하도록 하였다. 뒤에 남계서원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개암집≫ 2권이 있다.

앞쪽 낮은 곳에는 공부하는 강학공간을 두었고 뒤쪽 높은 곳에는 사당을 두어 제향공간을 이룬 전학후묘에 배치를 하였다. 누문(樓門)인 풍영루를 들어서면 강당인 명성당이 있고, 그 앞쪽 양 옆으로 유생들의 생활공간인 양정재와 보인재가 있다. 재 앞에 각각 연못과 애련헌(愛蓮軒), 영매헌(永梅軒)이 있다. 내삼문 안쪽으로 사당이 있어 위패가 모셔져 있다. 이 밖에 전사청과 고직사, 묘정비각 등이 있으며, 서원 입구에는 홍살문과 하마비(下馬碑)가 있다.

1) 일두선생문집책판(一蠹先生文集冊板)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66호(1979.12.29지정)
조선 전기 문신이자 5현 중의 한 사람인 일두 정여창(一蠹 鄭汝昌)의 문집을 새긴 책판이다. 정여창은 김굉필과 김종직의 문인으로 무오사화 때 종성으로 유배되었다. 그리고 갑자사화 때에는 부관참시(剖棺斬屍:죽은 시체에 형을 가함)를 당하였다. 정여창은 당시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했으며 역행실천을 통해 많은 독서를 했으나 사화 때문에 저술이 거의 전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얼마 되지 않은 유집만 전할 뿐이다.
이 문집은 정구(鄭逑)와 정여창의 증손자 정수민이 함께 수집·검수한 것을 인조 13년(1635)에 처음 발행하였다. 이어 영조 19년(1743)에 도암 이재(李縡)가 초간본에 누락된 것을 보완, 편집하여 유집(遺集) 3권으로 발행하였다. 그 후 1919년에 남계서원에서 다시 정여창의 시문과 사우록, 그리고 정여창의 후손 정환주(鄭煥周)가 수집한 것을 모아 속집으로 부록을 포함 4권으로 발간하였다. 따라서 이 문집은 유집 3권, 속집 4권으로 되어 있으며, 현재 책판은 남계서원 장판각에 보관되어 있다.
 
2)개암선생문집책판(介庵先生文集冊板)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67호(1979.12.29지정)
개암 강익(介庵 姜翼)의 문집을 널리 간행하기 위해 만든 책판이다. 강익은 남명 조식의 문인으로, 명종 4년(1549)에 진사를 지냈으며, 명종 21년(1566)에 정여창의 신원을 회복하기 위해 상소를 올렸다. 평생 학문과 후진양성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남계서원에 봉향되어 있다.
이것은 상하 1책으로 되어 있는데, 상권에는 시(詩)·서(書)·기(記)·추록(追錄)이 있고, 하권에는 세계(世系)·연보(年譜)·행장(行狀)·제문 (祭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문은 숙종 32년(1706)에 정지윤이 썼으나, 간행 기록으로 보아 간행은 이미 숙종 12년(1686)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문집은 추록 부분에 선생이 지은 시조 3수가 있어 시조 연구에 좋은 자료이다.

역대 역대 남계서원 원장
1대 1562(명종 17년) 진사 개암 강익 (가정 31년, 명종 7년 1552년 시작 명종 17년 준공)
2대 1568(선조1년) 유학 노과 3대 1569(선조2년) 진사 노사훈
4대 1573(선조6년) 유학 정철 掣 5대 1578(선조11년) 유학 노사예
6대 1583(선조15년) 유학 하맹보 7대 1584(선조17년) 유학 노사예
8대 1589(선조22년) 유학 하맹보 9대 1594(선조27년) 생원 노사상
10대 1600(선조33년) 참봉 노사계 11대 1603(선조36년) 군수 노사회
12대 1606(선조39년) 이유 13대 1606(선조39년) 현감 하응도
14대 1610(광해2년) 유학 이대일
62년의 기록이 없음(평균 재직년수 3년으로 계산 20대를 넘김)
35대 1685(숙종11년) 군수 심철 36대 1687(숙종13년) 생원 박숭규
37대 1688(숙종14년) 부호군 권용 38대 1689(숙종15년) 양성
39대 1690(숙종16년) 진선모 40대 1691(숙종17년) 정세정
41대 1692(숙종18년) 현감 하세원 42대 1693(숙종19년) 김설 薛
43대 1698(숙종24년) 군수 김당 44대 1701(숙종27년) 생원 양천익
45대 1702(숙종28년) 유학 박정노 46대 1707(숙종33년) 군수 이정화
47대 1708(숙종34년) 김집 48대 1709(숙종35년) 군수 정중기
49대 1710(숙종36년) 박수일 50대 1714(숙종40년) 노세명
51대 1714(숙종40년) 권만적 52대 1717(숙종43년) 강겸후
53대 1718(숙종44년) 홍우전 54대 1718(숙종44년) 군수 이수
55대 1720(숙종46년) 군수 홍우채 56대 172?(경종 ?년) 생원 권만의
57대 172?(경종 ?년) 최계운 58대 172?(영조 ?년) 군수 이성제
59대 172?(영조 ?년) 양운익 60대 1730(영조 6년) 박수태
61대 1734(영조10년) 변집 62대 1735(영조11년) 김범
63대 1736(영조12년) 박수기, 도유사 진중번, 최예, 임재반, 양인제
64대 173?(영조 ?년) 양석명
65대 1740(영조16년) 생원 박사량
66대 1743(영조19년) 현감 조영우
67대 174?(영조 ?년) 판서 이재, 도유사 임사순, 박사인, 허?, 최?
68       68대 1747(영조23년) 판부사 유석기, 도유사 1688 강은거 擧, 1751 박은항 恒, 1754 정소헌, 1755 생원 우정규, 1758 노화국, 1759 진구, 1699 하한광, 1701노길, 1762 이한걸, 1763 박응량, 1764 정종헌, 1706 하성룡, 1767 우진규, 1769 하한수禭
69       69대 1770(영조46년) 봉 조하 영의정 김치인, 도유사 1770양?보, 박채승, 1715노정국, 1776김계택, 1779정진형 1785박채초 ?焦, 1788정진정,
70       70대 1790(정조14년) 찬선 김리안 도유사 정진정
71       71대 1792(정조16년) 판서 이민보, 도유사 정진정, 1793강공상, 1795김익조, 박채승, 1796정근, 1797우상검, 1798정진망,
          72대 산장 1799(정조23년) 사전 송환기 도유사 정진망, 1801김규태, 1805홍병모, 1807정덕해,
          73대 원장1808(순조 8년) 판서 1818좌의정 1836영의정 남공철
           도유사 정덕해, 1811우상만, 1812정덕징澄, 1815하대징, 1816양정유, 1817김만감, 1818정덕하, 1820경유사 이민연, 1821향유사 권사조, 김철신, 1822김철신, 1823노광은, 1830도유사 노석휘, 1831이상일, 1832조제만, 노광시, 1834홍장섭, 노광기, 1835강?조, 박희덕, 1838홍철모, 홍종호
          74대 산장 1841(헌종 7년) 영의정 조인영, 도유사 1843군수 조연명, 1844정복규, 1845김한찬 1846하용도, 1850군수 조기형, 1851심석택, 1852노성수, 1854군수 김정균, 노성수, 1856이병일, 강민회
75대 1856(철종 7년) 군수 김정균, 도유사 강민회
76대 1858(철종 9년) 군수 신태도, 도유사 홍운섭, 1859양경기, 이항실
77대 1860(철종11년) 군수 오경선, 별유사 정환조, 1861 도유사 정복초
78대 1862(철종13년) 군수 심의순, 도유사 정복초,
79대 1864(고종 1년) 군수 서호순, 도유사 정복초, 1865하석문, 1867임병조
80대 1867(고종 4년) 군수 한치조, 도유사 양경화, 1869임병식, 1870노학수
81대 1870(고종 7년) 군수 이원진, 도유사 노학수, 1872정의탄
82대 1872(고종 9년) 군수 김석근, 도유사 정의탄, 1874이육, 1876임병철
83대 1876(고종13년) 군수 이상선, 도유사 임병철, 1877양영규, 심상옥
84대 1878(고종15년) 군수 김봉수, 도유사 심상옥, 1879심상옥
85대 1881(고종18년) 군수 김영문, 도유사 심상옥, 1882진사 노극수
86대 1883(고종20년) 군수 안광묵, 도유사 노극수, 1884진사 하재구, 정재응
87대 1885(고종22년) 군수 김재순, 도유사 정순익
88대 1886(고종23년) 군수 조병갑, 도유사 노식현, 장의 강윤두
89대 1887(고종24년) 군수 이만윤, 장의 강윤두
90대 1888(고종25년) 군수 김영구, 장의 강윤두
91대 1889(고종26년) 군수 김정진, 장의 강윤두, 1830장의 진사노태현
92대 1892(고종29년) 군수 김규승,
93대 1893(고종30년) 군수 조성희
94대 1895(고종32년) 군수 조원식
95대 1896(건양 1년) 군수 송병선
96대 원장 1898(광무 2년) 관찰사 조시영, 도유사 군수 민정식,
97대 원장 1900(광무 4년) 관찰사 이지용 (을사 5적이라 삭제)
98대 산장 1901(광무 5년) 관찰사 김영덕
99대 도유사 1912 참판 정준민
100대 1915 유학 하종한 101대 1917 정언 민치호
102대 1920 승지 정승현 103대 1921 도사 이상규
104대 1921 의관 이준학 105대 1925 교리 이중구
106대 1925 령 심기섭 107대 1926 군수 이중철
108대 1928 승지 김하용 109대 1934 참봉 이준식
110대 1935 의관 정순현 111대 유사 1944 유학 정순우, 정규상,
112대 1945 유학 정규상 113대 1946 유학 정순우, 우택영
114대 1947 유학 정순우 115대 1948 유학 강갑영
116대 1949 유학 강갑영 117대 1950 유학 강갑영, 유학 이석규
118대 1951 유학 이석규 119대 1952 유학 이석규, 정순우, 허의현
120대 1953 유학 허의현, 정순우 121대 1954 유학 허의현, 정순우, 정병하, 정용현
122대 1955 정병하, 정용현 123대 1957 정병하, 정용현, 임종훈
124대 1958 정용현, 임종훈 125대 1960 정용현 임종훈, 양재진,이용구
126대 1962 정도현 강용희 127대 1963 정옥상 강용희, 진영달
128대 1964 정순구, 권재욱, 노중식, 강길수 129대 1968 노윤식, 정환우, 정정현 130대 1970 정정현, 임운택, 양수용 131대 1974 정문현, 양수용, 정순호 132대 1976 정순호, 양수용, 강신규 133대 1978 정진현, 정순태, 강신규 134대 1982 정인현, 강신규,정대갑
135대 1986 정순민, 정대갑, 송국환, 강기향, 양창용, 노환영, 진종, 임채석,
136대 1995 임채석 정기상,정순민 137대 2001 이광섭 정지상
138대 2004 박종규 정한상 139대 2005 여성현 정경상
140대 2008 노재룡, 정이상
 
참고-창원대학교 경남학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