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용계서원(龍溪書院-壇享)
   안동시 와룡면 산야리 187
   유일재 김언기, 권대기, 김용석
   1778년(정조2년)
   
   매년 3월 초정
   
이 건물은 조선 중기의 학자인 유일재 김언기를 배향한 서원이다. 와룡면 소재지에서 예안 방향으로 가면 산야리 산골마을이 있고 이 마을의 동쪽 산자락에 서원이있다.
이 서원은 1778년 선생의 문인들과 후손들이 보덕사를 세워 선생을 제향하고 인재 권대기를 추향하여 오던 중 대원군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지금까지 복설되지 못하고 있다. 서원 맞은 편 언덕에 용산 보덕단을 세워 매년 3월 초정일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현재는 강당 건물 1동과 부속 건물 1동이 남아 있다. 강당은 막돌 초석위에 사각의 주초를 놓고 각주를 세운 정면 4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중앙에 4칸의 마루를 두고 좌우에 2칸의 온돌방을 배치한 간결한 구조의 건물이다. 매년 3월 초정일에 향사를 지낸다.

1) 김언기(1520~1588) 선생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 본관은 광산이며, 자는 중온이요, 호는 유일재이다. 퇴계 이황 선생의 문인으로 1567년(명종 22)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선생은 일찍이 구봉령 선생과 함께 청량산에 들어가 10년을 기약하고 글을 읽다가 연고가 있어 구봉령 선생보다 1년 앞서 돌아왔다. 산에서 내려오며 암애와 초목이 모두 읽던 책의 글자로 보였다 한다.
도산 근처에 살면서 서사를 지어 '유일'이란 편액을 걸어 놓고 후진을 교육하였다. 문하에서 남치리, 정사성, 권위, 박의장, 신삼제, 권태일 선생과 같이 훌륭한 인재들이 배출되어 당시 안동의 학문 진흥의 창도자로 알려졌다. 퇴계 선생이 돌아가신 뒤에는 여강에 서원을 세우고, 백련사를 철거하여 유학을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하는 데 노력하였다. 저서로는 <<유일재집>> 1권이 있다.
 
2) 권대기(權大器)
1523년(중종 18)∼1587년(선조 20). 조선 중기 학자. 자는 경수(景受)이고, 호는 인재(忍齋)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출신지도 경상북도 안동이다.부친 전 참봉(前參奉) 권엽(權燁)의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권위기(權偉器)와 동생 권중기(權重器)가 있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1552년(명종 7) 식년시 생원 3등 56위로 합격하였으나, 성균관 유생으로서 과거에 뜻을 두지 않아 관직에는 나아가지 않았다. 타고난 품성이 순수하고 행실이 반듯하였으며, 경서(經書)에 능통하고 배운 것을 실천하는 지행합일(知行合一)로 추앙을 받았다.
평생토록 효제충신(孝悌忠信)의 실천과 세속의 명예와 이득 취하는 일에 경계할 것 등에 관해 공부하였으며, 검약한 생활을 하면서도 남이 알아주기를 구하지 않는 삶을 살았다. 후에 이계서원(伊溪書院)을 지어 후진 양성에 힘썼는데, 문하에 많은 선비들이 배움을 갖기 위해 찾아왔다. 사후에 장남 권굉(權宏)이 원종공훈(原從功勳)을 세우고 광해군의 사부(師傅) 등을 지내면서 집의(執義)에 증직되었다. 슬하에 5남, 권굉‧권우(權宇)‧권성(權宬)‧권유(權▣)‧권횡(權宖)을 두었다. 안동의 용계서원(龍溪書院)에 배향되었다. 유고로 《인재선생실기(忍齋先生實紀)》가 있다.
 
3) 김용석(金用石)
1453년(단종 1)∼미상,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연숙(鍊叔), 호는 담암(潭庵).
1472년(성종 3)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1498년(연산군 4)에 무오사화로 스승 김종직과 동문인 김일손, 정여창, 김굉필 등이 화를 당하자 부인 김씨(金氏)의 고향인 안동 구담(安東 九潭)으로 내려와 살았다.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과 화산(花山) 권주(權柱)와 사귀었다. 〈담암김용석유허비(潭庵金用石遺墟碑)〉가 있고, 용계서원(龍溪書院)에 배향(配享)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