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최진립(崔震立, 1568~1636)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사건(士建), 호는 잠와(潛窩). 군기시첨정(軍器寺僉正) 득정(得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순릉참봉 삼빙(三聘)이고, 아버지는 신보(臣輔)이며, 어머니는 평해황씨(平海黃氏)로 참봉 사종(士鐘)의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동생 계종(繼宗)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1594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부장을 제수받았으나 병으로 사직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결사대 수백명을 인솔하고 서생포(西生浦)의 적을 격멸한 데 이어 양호(楊鎬)·권율(權慄)과 함께 도산(島山)에서 대승하였다.
1600년 여도만호 겸 선전관(呂島萬戶兼宣傳官)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1607년 도총도사에 제수되자 비로소 관직에 나갔다. 뒤에 울산에 유배되었으나 인조반정 후 사면되어 가덕첨사(加德僉使)를 제수받았다.
경흥부사·공조참판을 거쳐 1630년(인조 8) 경기수사로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를 겸하였다. 1634년 전라수사를 거쳐서 1636년 공주영장으로 병자호란을 맞자 감사 정세규(鄭世規)를 따라 참전하여 용인 험천(險川)에 이르러 청군을 만나 끝까지 싸우다 전사하였다.
저서로는 ≪정무공기실 貞武公紀實≫ 2권이 있다. 1637년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1647년에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경주의 숭렬사(崇烈祠), 경원의 충렬사(忠烈祠)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정무(貞武)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