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김숙자 (金叔滋, 1389~1456)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 선산 출신. 광위(光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은유(恩宥)이고, 아버지는 관(琯)이며, 어머니는 유인귀(兪仁貴)의 딸이다.
12세 때부터 길재(吉再)로부터 ≪소학≫과 경서를 배우기 시작하였다. 역학에 밝은 윤상(尹祥)이 황간현감으로 내려와 있다는 소식을 듣고 걸어가서 배움을 청하자 윤상은 그 열의를 보고 ≪주역≫의 깊은 뜻을 힘써 가르쳐주었다.
1414년(태종 14) 생원시에 합격하고, 1419년(세종 1)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고령현감을 거쳐, 1436년에 경명행수(經明行修)의 선비 추천에서 첫 번째로 꼽혀 세자우정자(世子右正字)가 되었다. 그러나 얼마 후 선산의 교수관으로 나갔다가 개령현감이 되었다.
그 뒤에 사예(司藝)가 되었으나, 1456년 사직하고 처가가 있는 밀양으로 내려가서 그 해에 죽었다. 16세기에 사림에 의해 확립된 도통(道統)의 계보에서 길재의 학문을 아들 종직(宗直)으로 하여금 잇게 하였다.
효성이 지극해 ≪소학≫의 법도를 따라서 어버이를 모셨다. 그리고 남을 가르치기를 권태롭게 여기지 않아, 친상(親喪) 중에 여막 곁에 서재를 만들어 조석을 올린 뒤에 가르치기까지 해, 학업을 받는 자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가르칠 때에는 처음에 ≪동몽수지 童蒙須知≫ 유학자설정속편(幼學子說正俗篇)을 모두 암송시킨 다음 ≪소학≫에 들어가고, 그 다음에 ≪효경≫·사서오경·≪자치통감≫ 및 제자백가의 순을 밟았다.
≪소학≫을 앞세우면서 실천을 중시하는 학문 자세는 길재에게서 물려받았으며,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선산의 낙봉서원(洛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2)김취성(金就成) 1492~1551)
조선 중기의 학자.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성지(成之), 호는 진락당(眞樂堂) 또는 서산(西山). 아버지는 증이조참판(贈吏曹參判) 광좌(匡佐)이며, 어머니는 임씨(林氏)로 무(茅)의 딸이다.
일찍이 박영(朴英)의 문하에 들어가서 ≪중용≫과 ≪대학≫의 깊은 뜻을 배워 존심양성(存心養性 : 본연의 양심을 잃지 않도록 하고 본성을 잘 기르는 일)의 방법과 관물성찰(觀物省察 : 사물을 관찰하고 자신의 심성을 살핌)의 오묘한 뜻을 터득하고,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의 묘용(妙用)을 배워 그 이치를 깨달았다. 한평생을 학문탐구에 몰두하여 일가를 이루었다.
만년에는 당시의 대학자이며 재상이었던 김정국(金正國)과 이언적(李彦迪)의 추천으로 네 차례나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직하고 한번도 부임하지 않았다.
또한, 의학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함으로써 약성(藥性)과 경락(經絡)에 대한 지식이 깊어 병든 사람을 많이 치료하였는데, 그 수가 무려 수천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저서로는 ≪진락당집≫이 있다.
3)김취문(金就文, 1509~157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문지(文之), 호는 구암(久菴). 아버지는 광좌(匡佐)이며, 어머니는 임무(林珷)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형 취성(就成)과 함께 박영(朴英)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워 그 학통을 이었고 문장을 잘하여 이름이 높았다.
1537년(중종 3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서관정자(校書館正字)를 거쳐, 1541년 형조·예조의 좌랑을 지내고 외직으로 나가 비안현감을 지냈다. 1544년 강원도도사(江原道都事), 이듬해 수찬(修撰), 1547년(명종 2) 호조·공조의 정랑을 지냈다.
다시 외직으로 나가 전라도도사·영천군수·청송부사·상주목사·나주목사를 거쳐, 1565년 사성(司成)·집의(執義)·교리(校理)와 호조참의·대사간에 이르렀다. 어려서부터 성품이 강직하여 벼슬길에 나가서도 권세가에게 아부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하여 자주 외직으로 밀려났다.
외직에 있으면서도 청렴결백하여 백성들을 침탈함이 전혀 없어 성균관사성으로 있을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또한, 경세적(經世的)인 관심도 커서 지방 수령으로 전전할 때 시정(時政)에 대한 건의사항을 왕에게 주달한 것이 문집에 많이 남아 있다.
저서로는 ≪구암집≫ 3권이 남아 있다. 처음 시호를 정간(貞簡)이라고 했다가 뒤에 문간(文簡)으로 바꾸었다.
4)박운 (朴雲, 1493~1562)
본관은 밀양, 자는 택지(澤之), 호는 용암(龍巖)·운암(雲巖), 선산 출생이다. 1519년 진사가 되고 명종 때 부사용을 지냈다. 만년에 이황과 서신으로 연락하였고, 이황에게 저서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