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반암서원(盤巖書院)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반성리
    정 구(鄭 矩) 정선경(鄭善卿) 정 종(鄭 種) 정 비(鄭 秠)
   1794년(정조 18)
   
   음력 10월 5일
   
반암서원은 본래 정종(鄭種)의 별묘(別廟)였다. 정구(鄭矩)는 1777년(정조 1)에 안의 정충사(靖忠祠)에 김문기(金文起)와 함께 모셔져 있다가 1794년(정조 18) 그곳 화림에서 다른 분을 추향하게 되어 동년 9월에 문중어른들이 성주 사림과 논의하여 장손(長孫)의 향리인 반성촌 정종의 별묘로 이봉(移封)하면서 반암서원이라 현판(懸板)하였다. 1868(고종5)년에 서원(書院)은 철폐(撤廢)되었으며, 반암서당으로 현판 하였다가 그 후 건물이 퇴폐하여 1994(갑술)년에 확대 개축하였다.

1)정구(鄭矩, 1350~1418)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중상 (仲常), 호는 운학재(雲壑齋). 아버지는 감찰대부(監察大夫) 양생(良生)이다.
1377년(우왕 3) 문과에 을과 2등으로 급제, 전교시부령(典校寺副令)을 지내고, 1382년 김극공(金克恭)의 옥사에 연루, 유배되었다. 1392년 조선이 개국되자 한성부우윤을 지내고 1394년(태조 3) 왕명으로 한리(韓理)·조서(曺庶)·권홍(權弘)·변혼(卞渾) 등과 함께 ≪법화경≫ 4부를 금니(金泥)로 썼다.
1397년 좌간의대부, 이듬해 정안군(靖安君:태종)의 막료로서 판교서감사(判校書監事) 겸 상서원소윤(尙瑞院少尹)에 이어 승지 겸 상서원윤을 지냈다. 정종 때 도승지·대사헌, 태종 때 예문관학사를 거쳐 중군총제(中軍摠制)·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공조판서·호조 판서·판한성부사·계림부윤·개성부유후 등을 역임하였다.
1417년(태종 17) 의정부참찬으로 성절사(聖節使)가 되어 명나라에 건너가 홍무연간(洪武年間: 明太祖時代)에 만든 각궁(角弓)을 구입하여 왔고, 그 뒤 의정부찬성이 되었으나 풍질로 사직하였다. 예서·초서·전서를 잘 써 이름이 높았고, 성품은 청렴하였으며 예의가 발랐다.
경기도 양주에 있는 건원릉신도비(健元陵神道碑)의 제액(題額)을 썼다. 시호는 정절(靖節)이다.
 
2)정선경(鄭善卿, 1395~1442)
자는 선지(善之), 호는 반곡재(盤谷齋), 정구(鄭矩)의 아들이다. 내섬시판관(內贍寺判官)을 역임하고 아들 정종의 훈공으로 동평군(東平君)에 봉작되었다.
 
3)정종(鄭種, 1417~1476)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묘부(畝夫), 호는 오로재(吾老齋). 할아버지는 좌찬성 구(矩)이며, 아버지는 판관 선경(善卿)이다.
1442년(세종 24) 무과에 급제하였다. 1453년(단종 1) 11월 이징옥(李澄玉)의 난 때 종성절제사로서 이를 포살(捕殺)한 공으로 군공(軍功) 1등에 책록되고 당상관으로 승진하였다.
그 뒤 종성도호부사에 임명되었다가 곧 상호군(上護軍)이 되었으며, 이듬해 세조의 즉위를 도와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457년(세조 3) 3월 충청도절제사가 되고, 1461년 10월에는 중추원부사로서 홍익성(洪益成)과 함께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63년 경상좌도도절제사를 지내고, 1467년 5월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에는 율원군 종(栗元君從)의 휘하로 총통군(銃筒軍)을 이끌고 출전하여 평정에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3등에 책록되고, 행충무위상호군 겸 오위장에 임명되었다.
처음 칠산군(漆山君)에 봉하여졌다가 곧이어 동평군(東平君)으로 개봉되었다. 이어 충청도도절제사를 거쳐 경주부윤이 되었다. 1472년(성종 3) 한황(旱荒)이 계속되어 농작물에 대한 손실을 조사하였으나, 이에 착오가 많은 책임을 물어 파직되고, 포천으로 정역(定役)되었으나 1476년 정월에 풀려났다. 성주의 반암사(盤巖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4)정비(鄭秠)
조선초 인물로 정선경의 아들이다. 본관은 동래, 호는 기우자(騎牛子)이다. 관직은 충좌위부사정을 지냈으며,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서원의 일곽을 이루고 있는 영역내에는 반암서당이며 서원의 강당인 숭덕재(崇德齋)와 그 후면에 세덕사(世德祠)를 건립하여 전학후묘의 배치에 따르고 있다. 또한 경내에는 비석 3기가 있다.

참고-경북서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래정씨 동평군파 종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