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노동서원(魯東書院)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황보1리 692
   송시열(宋時烈) 이상진(李尙眞) 오두인(吳斗寅) 이세화(李世華)
   1816년(순조 16)
   
   2월 상정(上丁)
   
노동서원은 1816년(순조 1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되었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毁撤)되었다. 1921년에 지방 유림에 의하여 강학소(講學所)를 건립하여 송시열의 영정을 봉안하였다.
창건 당시의 건물로는 사우(祠宇)·강당(講堂)·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주소(廚所) 등이 있었다고 한다. 이 서원은 창건 당시에 송시열의 위패를 봉안하였으며, 매년 음력 2월 상정일(上丁日)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1)송시열(宋時烈, 1607~1689)
조선후기의 학자·명신으로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화양동주(華陽洞主),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송갑조의 아들이며 사계 김장생과 신독재 김집으로부터 사사(師事)받았다. 27세에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1635년에는 봉림대군의 사부가 되어 훗날 효종과 깊은 유대를 맺는 계기가 되었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일체의 관직을 사양하고 향리에 낙향하여 10년간 학문에만 몰두하던 중 1649년에 효종이 즉위하자 기용되어 북벌 계획의 핵심인물이 되었다. 이후 송시열의 정치 생활은 북벌·예송과 관련하여 부침(浮沈)을 계속하였다.
조정에 나아가기보다는 향리에 은거한 기간이 대부분이었으나 사림의 중망 때문에 서인의 거두로, 혹은 노론의 영수로 막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1689년의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축출되고 남인이 재집권하면서 유배와 사약을 받은 이후, 송시열의 행적에 대해서는 당파 간의 칭송과 비방이 무성하였다. 그러나 1716년의 병신처분과 1744년의 문묘 배향으로 그의 학문적 권위와 정치적 정당성은 공인되었고 영조 및 정조대에 노론의 일당 전제가 이루어지면서 그의 역사적 지위는 더욱 견고하게 확립되고 존중되었다.
송시열의 서원 제향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다시 정권을 잡자 대대적으로 추진되어 청주의 화양서원을 비롯, 수원 매곡서원, 영동의 초강서원, 제주의 귤림서원, 강릉의 오봉서원, 경주의 인산서원 등 전국적으로 약70여개 소에 이르며 사액(賜額) 서원만도 37개소가 된다. 저서로는

울진군 기성면 황보리 노동마을 뒷산 허리 아래에 서남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울창한 숲에 둘러 싸여 산을 등지고 들을 바라보며 풍광이 빼어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건물은 현재 평해구씨(平海丘氏)의 재실로 이용되고 있는데, 사당인 노동사(魯東祠)와 강당인 흥학당(興學堂)으로 이루어져 있다. 노동서원의 주위에는 토석 담장을 둘렀으며, 앞면의 오른쪽으로 3칸 규모의 삼문을 세워 서원으로 출입하도록 하였다. 3칸 규모의 대문채를 들어서면 강당인 흥학당(興學堂)과 상당인 노동사(魯東祠)가 앞뒤로 배치되어 있으며, 강당 오른쪽 배면에 설치된 판장문을 통해 사당을 출입하게 되어 있다. 창건 당시에는 강당, 사당, 동서재, 전사청, 주사, 내삼문, 외삼문 등이 다 갖추어져 있었으나 새로 중건을 하면서 강당과 사당만 지었다.
 
1)강당
노동서원의 흥학당(興學堂)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기와집이다. 평면은 어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둔 중당협실형(中堂挾室形)인데, 대청은 앞면 칸과 뒷면 칸 사이에 사분합문(四分閤門)을 설치하여 뒤쪽 칸을 마루방으로 만들었다. 앞면에는 반 칸 규모의 퇴칸을 설치한 후, 퇴칸의 앞면으로 평난간을 세웠다. 가구는 5량가의 소로수장형이며 처마는 홑처마이다.
 
2)사당
노동서원의 노동사(魯東祠)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맞배기와집이다. 내부는 통칸으로 처리하여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어칸에는 쌍여닫이 세살문을, 양 측칸에는 외여닫이 세살문을 각각 설치하였다. 앞면의 기둥에만 원형기둥을 설치하였고, 기둥의 윗부분은 이익공(二翼工)으로 장식하였으며, 처마 앞면에는 겹처마를 설치하였으나 배면에는 홑처마를 설치하였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