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연경서원(硏經書院)기문/매암 이숙량
명종계해(1563)년 여름 향시에 필요한 학업을 익히는 향중 선비들이 학당에 모여 글을 읽고 짓는 여가에 서로 팔을 잡고 탄식하여 이르기를 서원(書院)이 우리나라에 있어서 전후에 들은 바가 없었더니 무릉(武陵)주선생(周先生)이 처음으로 백운동(白雲洞)에 세움에 시청을 고동시키고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였으니 참으로 우리나라 위대한 사업의 으뜸이었다
그 소문을 듣고 일어난 것으로 해주의 문헌서원(文憲書院)과 성주의 연봉서원(迎鳳書院)과 영천의 임고서원(臨皐書院)과 경주의 서악서원(西岳書院) 같은 것이 있다.따라서 크고 작은 고을에 파급되어 서로 다퉈가며 추모하고 점차 확장하였으니 이러한 것들이 어찌 모두 수령들에 의해서 건립되었으며 또 어찌 모두 반드시 어진이의 숭배를 위주하여 설치한 것이겠는가
고을 사람들이 능히 스스로 분발하여 강학의 장소로 세운 것이 간혹 있었으니 도의를 강마하고 풍속을 격려하는 데에 있어 어찌 도움이 적다 하겠는가
우리 고을은 한 도(道) 가운데 선비의 후손이 많은 데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그 몸을 사사롭게 하고 선비들은 그 학문을 사사롭게 하여 활과 말의 기예에만 따르고 문학에는 힘쓰지 않았다. 그 사이에 또한 어찌 호걸스런 재목과 기위(奇偉)한 사람이 없었겠는가
그러나 그 퇴폐한 풍습속에서 능히 스스로 분발한 사람이 얼마나 있었겠는가
풍속이 이로 말미암아 아름답지 못하고 인심이 이를 예사로 여겨 날마다 나빠졌으니 이 어찌 다만 우리 고을의 수치였겠는가 또한 국가의 불행이었다
지나간 것을 따를 수 없고 다가오는 것을 힘쓸 수 없으니 지금 어진 임금을 만났으며 하잖은 고을에서 어진 성주를 얻었으니 이것은 진실로 고을 풍속을 혁신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다.
옛말에 이르기를 [모든 공인(工人)이 제자리에 있으면서 그 일을 이룬다]고 하였으니
학문을 하는 데에 있어서만 어찌 그렇게 하겠는가 그렇다면 선비가 있을 자리는 서원이 아니고 어디겠는가
이에 목욕 제계하고 성주에게 들어가 뵙고 서원 세울 뜻을 고하였으니 이때 성주는 밝은 성주 박응천(朴應川)이었다
그 향약의 마음을 아름답게 여기고 사람의 아름다움을 이루어 주는 것을 즐겁게 여기고 즉시로 명령하여 이르기를 [내가 비록 능히 주관할 수는 없으나 그 일로써 와서 말하면 들어 주겠다]고 하였으니 또 이르기를 [집을 세우는 데에는 기와가 가장 큰 일이니 이것은 내가 마련해 주겠다]고 하였으며 또 이르기를 [일을 하는 데에는 유사(有司)보다 더 앞서는 것이 없으니 유사의 우두머리를 선택하라]하였다
제생들이 그 명령을 듣고 뛸듯이 기뻐하며 물러 나왔다
다음날 향사당(鄕射堂)에 향중 부호들을 모아놓고 역시 서원 세울 뜻을 말하니 모두 말하기를 [감히 동심협력하지 않겠는가]하였다
이에 일을 주관할 사람을 세우고 또 재력(財力)의 규모를 계획하여 대소인원을 차례로 써서 그 빈부에 따라 돈과 곡식을 거두었으며 노력을 내는 데에도 역시 이와같이 하였다 이에 공인(工人)들을 먹일 곡식과 노임으로 줄 포백들이 단시일에 집합되었다
이에 마땅한 기지를 살펴 팔공산 기슭에 세우도록 작정하였다
고을에서 20리쯤 떨어진 곳에 마을이 있어 위의 마을은 지묘(智妙)라 하였고 아랫마을은 무태(無怠)라 하였으며 서원은 그 사이에 자리를 잡고 이름을 연경(硏經)이라 하였으니 당초에는 잡초가 우거진 묵밭이었던 것을 전임 성주가 공유지로 교환하였다
한 줄기의 맑은 냇물이 그 남쪽을 지나 잔잔하게 흐르며 구비구비 산을 따라 서쪽으로 10리를 체 못가서 호(湖)에 이르렀다
그 상류의 두 마장쯤 되는 지점에 왕산(王山)이 있어 웅장하게 서려있고 높이 솟아 아름다운 기운이 매우 짙었다
그 왕산을 호위하듯 그 남쪽에 벌려섰는 중첩된 봉우리가 마치 용이 날으고 봉이 춤추는 듯 굽고 방박한 것은 서원의 동남쪽 경관이다
서원의 북쪽산을 성도(成道)라 일렀으니 봉우리가 높이 솟고 골짜기가 아늑하고 깊어 흰 돌과
푸른 소나무가 은은하개 비추었으며 서쪽으로 달리다가 갑자기 큰 바위가 깍은듯이 높이 서있어 화암(畫巖)이라 일렀으니 이는 즉 서원의 서쪽 진(鎭)이라 붉은 언덕 푸른 절벽이 높이 서 있어 기괴한 형상들이 저절로 아름다운 그림을 이루었으니 화암이라고 한 이름이 이 때문이었는가? 그 아래 푸른 못이 잇어 깊고 맑아 잠겨있는 고기들이 헤아릴 수 있었으니 이는 즉
서원에서 굽어보는 경관이다.
갑자년 봄 삼월에 상량하여 그 명년겨울 시월에 공사를 마쳤으니 집이 모두 40여칸이었다
그 정당(正堂)은 세칸으로 기둥이 높고 처마가 날으는듯 하였으며 산과 물의 형세가 다 그 안을 밝혀 읍하는 듯 하였으니 참으로 인자(仁者)와 지자(知者)가 좋아할만한 곳이라 그 이름을 인지당(仁智堂)이라 하였다
그 왼쪽 채는 넓고 깊어 그윽한 형세가 존엄하였으므로 수방재(收放齋)라 일렀으며 오른쪽 채는 상쾌하고 시원하여 마음이 저절로 가다듬어졌음으로 경타재(警惰齋)라 일렀다 그리고 동쪽 집을 보인(輔仁) 서쪽 집을 시습(時習)이라 일렀으며 긴 행랑의 중간에 초현문(招賢門)이 있고 초현문의 서쪽 곁에 동몽재(童蒙齋)가 있으며 그 동쪽의 양헌(涼軒) 두 칸을 양정당(養正堂)이라 일렀으며 그 서쪽 온실 세칸을 유학재(幼學齋)라 일렀다
그 밖에 주방과 창고를 동편에 붙여 세우고 원장은 서쪽으로 둘려있다 이러한 것을 모두 합하여 [연경서원]이라 일렀다
집은 이미 이루어졌으나 모든 용품이 미비하였다 이에 또 권고하는 안을 내어 향중 동지들과 의논하고 스스로 원하는 바에따라 받아드렸으니 적게는 소반과 기명이요 크게는 돈과 곡식과 서책들이었다 그들의 재력에 따라 드려 놓았으니 한 고을의 동심합력이 참으로 가상할만 하였다
대개 서원의 건립이 비록 지방사람들의 공통된 소원에 근본하였으나 모든 계획과 처치에 있어서는 전후 성주의 힘이 많았다
당초 재목을 모으고 기와를 구울적에 힘이 미치지 못하면 성주가 담당하여 엄한 호령으로 순하게 인도하고 태만한 것을 이끌었으며 토지 노속의 배치 선비를 기르는 경비의 근본대책 등유 식염의 규정에 이르기 까지 모두 용의조치 하다가 완수하지 못하고 전임됨에 고을 사람들이 실망하고 중도폐지 될까 염려하였더니 우리 유학에 행운이 깃들어 또다시 어진 성주를 만나게 되었다
부임하자 곧바로 서원건립에 마음을 기울여 모든 고하는 것을 그대로 들어주었다
인부들이 부역이며 경비의 계속에 용의주도 하였으며 수호하는 군정과 주방의 식모들 까지도 힘써 주었으니 문학을 숭상하고 교화를 일으키는 뜻이 전임자와 후임자가 똑 같았다 우리 고을 많은 선비들의 다행스러움이 어떠하겠는가
그러나 두분 성주의 공적이 어찌 다만 구구하게 집을 짓는 사이에 베푼 조치의 말단에만 있었겠는가
뒷날 원근에서 이 서원을 찾아와 노는 사람들이 두분 성주의 근념과 서원을 건립한 뜻을 생각하여 글을 읽는 데에는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으로 근본을 삼고 문장을 서술하는 데에는 미사여구로 다듬는 것을 말단으로 삼아 학문은 자신의 수양을 위하고 외부의 물욕에 뜻을 빼았기지 말며 진실을 알고 성실하게 시행하여 다른 잡기에 현혹되지 아니하며
맑은 냇물에 임하거든 [가는 것이 이와 같다]고 한 공자의 말씀을 추모하고 높은 바위를 우러러서는 맹자의 기상을 상상하여 뛰어난 사람은 심오한 학문의 진리를 얻게 되고 그렇지 못한 사람이라도 오히려 어진 것을 잃어버리지 아니할 것이라
궁하여서는 가문과 시속의 모범이 되고 현달하여서는 임금을 존경하고 백성을 비호하여 충과 효를 다하는 인재가 많이 나올 것이니 두분 성주의 공적이 이에 커져서 장차 화암과 더불어 우뚝 솟아 떨어지지 않을 것이 틀림없다
지금 성주의 이른은 승간(承侃)이니 전임 성주와 성이 같으며 아름다운 치적도 잘 이었다
이 때 고을사람들이 나를 무능한 사람으로 여기지 아니하고 공사를 주관토록 하였으며 완공된 뒤에 또 나에게 서원건립의 내력을 써서 퇴계선생에게 기문을 청하도록 책임을 지웠다 이에 퇴계선생에게 청하였더니 선생이 병환으로 사양하시면서 내가 쓴 내력이 기문에 적합하다 하시고 칭찬하시며 발문을 뜻 깊게 써 주시고 반드시 기둥사이에 같이 계시도록 하였다
내가 감히 안된다고 사양하면 이것은 졸작인 나의 글 때문에 발문까지 버리게 되며 나의 글을 버리고 발문만을 취하면 서원건립의 전말을 알 수 없게 된다 이에 감히 옳지 못한 죄를 범하면서 마침내 썼으니 뒷날 군자들은 못난 사람의 글이라 하여 버리지 말고 특별히 관용하여 주면 매우 다행이겠다.
명종22년 (1567)정묘 10월16일 진사 이숙량 기(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