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화강서원(華岡書院)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
   전우(田愚), 유영선(柳永善)
   1924년
   
   음력 3월 20일
   현곡정사가 1974년 9월 27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
근현대의 유학자 전우(田愚)[1841~1922]를 주벽으로 하며, 1970년 전우의 문하에 나아가 19년 동안 수학한 유영선(柳永善)[1893~1961]을 추배하였다.
유영선이 1924년에 건축한 4칸의 현곡정사(玄谷精舍)를 기반으로 1955년 유림이 창건하였고, 그 다음해 용암사(龍巖祠)를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1) 전우
1841(헌종 7) 전북 전주~ 1922.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본관은 담양(潭陽). 초명은 경륜(慶倫)·경길(慶佶). 자는 자명(子明), 호는 구산(臼山)·추담(秋潭)·간재(艮齋). 아버지는 재성(在聖)이다. 14세에 아버지를 따라 서울로 이사했으며, 21세에는 당시의 거유 신응조(申應朝)의 권유로 아산의 임헌회(任憲晦)를 직접 찾아가 사제의 의를 맺었다. 1882년(고종 19) 선공감감역·강원도도사, 1894년 사헌부장령, 이듬해에는 순흥부사·중추원찬의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소(疏)를 올려 을사조약에 서명한 대신들을 죽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1910년 한일합병 이후에는 제자들과 상의하여 "마침내 도(道)가 행해지지 않으면 뗏목을 타고 바다로 들어간다"는 공자의 뜻을 취해 해도로 들어갔다. 지금의 부안·군산 등의 앞바다에 있는 작은 섬을 옮겨다니면서 강학(講學)하여, 나라는 망하더라도 도학을 일으켜 국권을 회복하고자 했다. 72세에 계화도(界火島)에 정착하여 섬 이름을 중화를 잇는다는 의미인 계화도(繼華島)라 부르면서 죽을 때까지 수많은 제자를 양성했으며 60여 권에 이르는 저서를 남겼다.
그의 학문 성향은 스승인 임헌회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임헌회는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으로서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이 같다는 낙론(洛論) 계열의 학자였다. 전우는 이이(李珥)의 '기발이승설'(氣發理乘說)을 계승하여 (理)는 무위(無爲)임을 주장하고 실제상의 작용은 모두 기(氣)가 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이의 명덕지시본심(明德只是本心)을 이어받아 심즉기(心卽氣)·명덕시기설(明德是氣說)을 주장했다. 또한 이이의 심위기주(心爲氣主)를 확대하여 심본성(心本性)·심학성(心學性)을 주장하고 성존심비(性尊心卑)·성사심제(性師心弟) 등 새로운 성리학 용어를 많이 제창했다. 그는 특히 미발기질체청설(未發氣質體淸說)을 창안했는데, 이는 낙론계의 학설을 한층 발전시킨 것이었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성격은 전통적인 유학사상을 그대로 실현시키고자 했던 점에서 조선 최후의 유학자로서 추앙받고 있지만, 처신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즉 나라가 망해도 의병을 일으키려 하지 않았고 파리장서(巴里長書)에도 참가하지 않았다고 하여 비판받기도 한다. 이런 비판에 대해 그는 〈추담별집〉에서 국치에 목숨을 버리는 것보다 학문을 이루어 도로써 나라를 찾아야 한다고 했고, 국권을 회복한다고 외세와 손을 잡으면 나라를 회복하기 이전에 내 몸이 먼저 이적(夷狄)이 되는 것이라는 논지로 반박했다. 그의 제자로 오진영(吳震泳)·최병심(崔秉心)·이병은(李炳殷)·송기면(宋基冕)·권순명(權純命)·유영선(柳永善) 등 3,000여 명이다. 계화도 계양사(繼陽祠), 의령 의산사(宜山祠), 고창 용암사(龍巖祠), 정읍 태산사(台山祠)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간재집〉·〈간재사고 艮齋私稿〉·〈추담별집〉 등이 있다.
 
2) 유영선 1893년~1961년
유영선(柳永善)은 어려서 할아버지에게 『격몽요결(擊蒙要訣)』『소학(小學)』을 배웠다. 1904년 12세 때 할아버지를 따라서 고부 영주산 속의 간재(艮齋) 전우(田愚)를 찾아가 문하에 들었다. 1905년 전우부안 목중리로 옮겨 갈 때도 함께 따라갔다. 그 해 4월 전우를 초청하여 관례를 치렀는데, 이때 전우가 자를 현곡이라 지어 주었다.
1905년 11월 을사늑약(乙巳勒約)이 체결되자 전우를 따라 서해(西海) 고군산 외딴섬 왕등도(旺嶝島)·계화도(繼華島) 등지에서 20여 년간 갖은 고초를 극복하면서 유학에 전념하였다. 1922년 전우가 세상을 떠나자 장례를 치르고 귀향했다. 1924년 백운산 아래 외화동현곡정사(玄谷精舍)를 건립하고, 도학을 보전하기 위해 후진 교육에 전념하여 많은 영재를 배출했다.
1930년 아버지의 상을 당하자 가례대로 장사지내고 사당을 세워 지성으로 모셨다. 1958년 이병은(李炳殷)·김훈석 등과 함께 전우의 진영을 용암사(龍巖祠)에 봉안하고 상읍례(相揖禮)를 행하였다. 1961년 선친의 묘 아래 재실을 짓고 경수재(敬修齋)라 이름 하였다. 이 해 4월에 세상을 떠나니 향년 69세였다. 문인으로 홍종호, 임종수(林鍾秀), 신사범 등이 있다.

화강서원 내에는 3칸의 용암사가 있고, 유영선이 강학하였던 4칸의 현곡정사(玄谷精舍)가 있으며, 유영선의 문인들이 독서하던 5칸의 판경당(辦敬堂)이 있다. 그 밖에 장서고(藏書庫), 관리사(管理舍), 영귀정(詠歸亭)이 있으며, 내외 삼문이 있다.
화강서원 안에 있는 현곡정사는 1974년 9월 27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