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설봉서원(雪峯書院)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 437-1
   서 희(徐 熙) 이관의(李寬義) 김안국(金安國) 최숙정(崔淑精)
   1564년(명종 19)
   
   음력 3월3일, 9월9일
   
유학의 진흥과 장학을 목적으로 창건된 설봉서원은 조선조 명종 19년(1564), 만죽헌(萬竹軒 정현(鄭礥)이 이천도호부의 부사(府使)로 부임하여 유림의 열화 같은 공의(公議)에 따라, 겨레의 스승이며 하늘이 내린 외교가로 청사에 길이 빛날 장위공(章威公) 복천(福川)서희(徐熙)선생의 학덕과 기개를 기리고 배우고자 세운 서원으로 기내서원(畿內書院)의 효시였으며, 율정(栗亭) 이관의(李寬義),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 소요재(逍遙齋) 최숙정(崔淑精)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당초 사우(祠宇)는 향현사(鄕賢祠)라 불렸고 서원 터가 고을 하국(下局)인 동시에 안흥지(安興池)와 애련루(愛蓮樓)와 맞물려 면학분위기 조성이 어려운지라 선조 25년(1592) 이른 봄에 이천의 진산이며 상국(上局)인 설봉산 기슭으로 이전하고 설봉서설봉서원은 300 여 년 동안 이천유림들에 의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에 훼철되어 신주를 사우 뒤편에 매안하였다.
1990년 경 부터 서원복원에 대한 논의가 진전되어 서원복원추진위원회가 구성되고 2004년 6월 사단법인 설봉서원의 등기를 설정하고, 2005년 12월 이천시의 재정지원으로 현 위치에 건축 기공을 하고, 2006년 12월에 완공하여 2007년 4월에 준공식을 가짐으로서 철폐 된지 136여년 만에 복원이 완료되었다.
향사일은 음력 3월 3일과 9월 9일이며, 현재에는 한학과 유학을 비롯한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내용으로 하는 일반인교육[雪峯大學], 방학을 이용한 학생체험교육, 학교나 기관 또는 단체를 대상으로 한 위탁교육 등을 연중무휴로 진행함으로서 존현(尊賢)과 강학(講學)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서원이다. 2007년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이천의 문화재로 특별 관리되고 있으며, 전통문화의 계승과 예절교육 및 평생교육장으로서 지역문화 창달에 기여하고 있다.
 
* 조선 명종 19년(1564) 안흥지 주변에 향현사 창건. 복천 서희선생 제향
* 조선 명종 20년(1565) 율정 이관의 추배
* 선조 25년(1592) 설봉산 아래로 이전하며 설봉서원(雪峯書院)으로 명명
모재 김안국을 추배하고 사우를 삼현사(三賢祠)라 칭함.
* 철종 8년(1857) 소요재 최숙정 추배
* 고종 8년(1871) 서원철폐령으로 사우는 훼철되고 신주는 사우 뒤편에 매안
* 1958년 사현의 후손문중이 훼철된 서원 동편에 사우 3칸을 지어 향사
* 1977년 서원 터를 현충탑 부지로 내어주었으며, 위패묘는 화장되고 설봉서원 유허비만 남음.
* 1997년 9월 서원복원추진위원회 구성
* 2004년 6월 사단법인 설봉서원 법인 등기
* 2005년 12월 건축기공
* 2007년 4월 설봉서원 복원 완료(136년 만에 復設)
* 2007년 9월 일반인교육(雪峯大學)개강, 학생체험교육 및 위탁교육 개강
* 2007년 9월 향토유적 제18호 지정 - ‘雪峯書院’
향토유적 제19호 지정 - ‘雪峯書院 節目’
* 2009년 6월 관리사(養士齋) 완공
* 2010년 4월 예절학교 개강(우리문화체험반)

1) 서희(徐熙, 942∼998)

http://dicimg.naver.com/100/400/81/28881.jpg고려 전기의 정치가이며 외교가. 본관은 이천(利川). 자는 염윤(廉允). 내의령(內議令)을 지낸 필(弼)의 아들이다. 할아버지인 신일(神逸) 때까지는 이천 지방에 토착한 호족으로 보인다. 아버지에 이어 재상위에 올랐고, 다시 아들 눌(訥)·유걸(惟傑)이 수상인 문하시중과 재상인 좌복야(左僕射)를 지냈다.
특히 눌의 딸은 현종의 비가 되어 외척가문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과 스스로의 재능으로 평탄한 출세의 길을 걸었다. 960년(광종 11) 3월에 갑과(甲科)로 과거에 급제한 뒤, 광평원외랑(廣評員外郎)·내의시랑(內議侍郎) 등을 거쳤다. 983년(성종 2) 군정(軍政)의 책임을 맡은 병관어사(兵官御事)가 되고, 얼마 뒤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를 거쳐 태보(太保)·내사령(內史令)의 최고직에까지 이르렀다.
이와 같이 정치적으로 중책을 맡아 활동했으며, 외교적으로도 많은 업적을 올렸다. 972년에 십 수 년 간 단절되었던 송나라와의 외교를 직접 사신으로 가 큰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가장 큰 외교적 활약은 993년에 대군을 이끌고 들어온 거란의 장수 소손녕(蕭遜寧)과 담판해 이를 물리친 일이었다. 고려의 일방적인 북진정책과 친송외교(親宋外交)에 불안을 느낀 거란이 동경유수(東京留守) 소손녕으로 하여금 고려를 침공하게 하였다. 거란군은 봉산군(蓬山郡)을 격파한 뒤, “대조(大朝 : 거란)가 이미 고구려의 옛 땅을 차지했는데 지금 너희가 강계(疆界)를 침탈하므로 이에 정토한다.”는 등의 위협을 하였다.
이에 고려에서는 항복하자는 견해와 서경(西京 : 지금의 평양) 이북의 땅을 떼어주고 화의하자는 할지론(割地論)이 우세하였다. 그러나 봉산군을 쳤을 뿐 적극적인 군사행동을 취하지 않고 위협만 되풀이하는 적장의 속셈을 간파한 서희는 할지론을 반대하고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여기에 민관어사(民官御事) 이지백(李知白)이 동조하자 성종도 찬성하였다. 이 때 소손녕도 안융진(安戎鎭)을 공격하다가 중랑장 대도수(大道秀)와 낭장 유방(庾方)에게 패해 고려의 대신과 면대하기를 청해왔으므로 여기에 응하게 되었다.
거란의 군영에 도착해 상견례를 할 때, 소손녕으로부터 뜰에서 절할 것을 요구받자, ‘뜰에서의 배례(拜禮)란 신하가 임금에게 하는 것’이라 하여 단호히 거절하며 당당한 태도로 맞서 결국 서로 대등한 예를 행하고 대좌하게 되었다. 소손녕이 먼저 침입의 원인을 “그대 나라는 신라 땅에서 일어나 고구려의 땅은 우리가 소유했는데 당신들이 그 땅을 침식하였다.”는 것과, “고려는 우리나라와 땅을 접하고 있는데도 바다를 건너 송나라를 섬기고 있기 때문에 이번의 공격이 있게 되었다.”고 두 가지를 들었다.
그러나 침입의 근본적인 이유가 후자에 있다는 것을 서희는 알고 있었다. 이에, “우리나라는 곧 고구려의 옛 터전을 이었으므로 고려라 이름하고 평양을 도읍으로 삼은 것이다. 만약, 지계(地界)로 논한다면 상국(上國)의 동경(東京 : 곧 遼陽)도 모두 우리 경내에 들어가니 어찌 침식이라 말할 수 있겠는가. 뿐만 아니라 압록강 안팎도 역시 우리 경내인데 지금은 여진이 그곳에 도거(盜據)해 완악(頑惡)하고 간사한 짓을 하므로 도로의 막히고 어려움이 바다를 건너는 것보다 심하다. 조빙(朝聘)을 통하지 못하게 된 것은 여진 때문이니 만약에 여진을 쫓아내고 우리의 옛 땅을 되찾게 하여 성보(城堡)를 쌓고 도로가 통하게 되면 감히 조빙을 닦지 않겠는가!”라고 반박, 설득하였다.
이와 같이 언사와 기개가 강개함을 보고 거란은 마침내 철병하였다. 그 결과 994년(성종 13)부터 3년간 거란이 양해한 대로 압록강 동쪽의 여진족을 축출하고, 장흥진(長興鎭)·귀화진(歸化鎭)·곽주(郭州)·귀주(歸州)·흥화진(興化鎭) 등에 강동육주(江東六州)의 기초가 되는 성을 쌓고 생활권을 압록강까지 넓히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이러한 국제정세에 대한 통찰력, 당당한 태도, 조리가 분명한 주장 등이 외교적 승리를 가져온 것이다. 한편 그는 문무를 겸비했을 뿐만 아니라, 성품도 근엄하고 사리에 밝았던 것 같다.
일례로 성종이 서경에 행차했을 때 미행(微行)으로 영명사(永明寺)에 가서 놀이를 하고자 하는 것을 상소, 간언해 중지시켰다. 또 어가를 따라 해주에 갔을 때 임금이 그의 막사에 들어가고자 하니, “지존(至尊)께서 임어하실 곳이 못 됩니다.”라고 정중하게 사양하였다. 다시 술을 올리라고 명하자, “신의 술은 감히 드릴 수가 없습니다.”라고 하여 결국 막사 밖에서 어주(御酒)를 올리도록 한 사실에서도 살필 수가 있다. 또한 공빈령(供賓令) 정우현(鄭又玄)이 봉사를 올려 ‘시정(時政)의 일곱 가지 일’을 논한 것이 임금의 뜻을 거슬렸다. 그러나 오히려 정우현의 논사가 심히 적절한 것이라고 변호하고 그 허물을 자신에게 돌렸다고 하는 데서도 잘 알 수 있다. 그리하여 정우현은 감찰어사가 되고, 그는 말과 주과(酒果)를 위로의 증표로 받았다. 그는 성종의 총애를 받으면서 일신의 영달과 더불어 나라에 큰 공적을 쌓을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그가 996년(성종 15)에 병으로 개국사(開國寺)에 머물게 되자, 성종이 친히 행차해 어의 한 벌과 말 세필을 각 사원에 나누어 시납하고, 개국사에 다시 곡식 1천석을 시주하는 등 그가 완쾌되도록 정성을 다한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시호는 장위(章威)이다. 1027년(현종 18)에 성종 묘정에 배향되었다.
 
2) 이관의(李寬義, 1409~1491)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의지(義之), 호는 율정(栗亭). 성리학을 비롯하여 천문·지리·기상·역학 등의 일반과학 분야까지 전심하여 각기 일가를 이루었다. 세종 때 진사에 합격하고 여러 번 대과에 응시하였으나 번번이 낙방하였다.
당시 진사의 위차가 생원의 아래에 있어 나이 많은 진사도 젊은 생원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예조에 고쳐줄 것을 상계(上啓)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뒤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율봉도찰방(栗峰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향리에서 학문연구에 몰두하여 많은 유생들이 모여 들었다.
1483년(성종 14) 성종이 경서에 밝고 품행이 방정한 인물을 널리 구할 때 손순효(孫舜孝)의 추천을 받아 경연(經筵)에서 ≪대학≫과 ≪중용≫을 강론하였다. 서거정(徐居正)·허종(許琮) 등의 석학은 물론, 성종도 그의 고매한 품위와 박식에 탄복하여 후한 상을 내렸다. 이 때 성종이 높이 등용하고자 하였으나 나이를 핑계로 거절하니, 성종은 경기감사에게 명하여 미곡을 하사하여 표창의 뜻을 보이게 하라 하였다. 문하에 정여창(鄭汝昌), 손순효((孫舜孝), 남효온(南孝溫)등이 있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1565년 (명종 20) 설봉서원(雪峯書院)에 제향되었다.
 
3) 김안국(金安國, 1478∼1543)
조선시대 문신·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국경(國卿), 호는 모재(慕齋), 시호는 문경(文敬). 참봉 연(璉)의 아들이며, 정국(正國)의 형이다. 조광조(趙光祖)·기준(奇遵) 등과 함께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도학에 통달하여 지치주의(至治主義) 사림파의 선도자가 되었다. 1501년(연산군 7) 생진과에 합격, 1503년에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으며, 이어 박사·부수찬·부교리 등을 역임하였다.
1507년(중종 2)에는 문과중시에 병과로 급제, 지평·장령·예조참의·대사간·공조판서 등을 지냈다. 1517년 경상도관찰사로 파견되어 각 향교에 ≪소학≫을 권하고, ≪농서언해 農書諺解≫·≪잠서언해 蠶書諺解≫·≪이륜행실도언해 二倫行實圖諺解≫·≪여씨향약언해 呂氏鄕約諺解≫·≪정속언해 正俗諺解≫ 등의 언해서와 ≪벽온방 辟瘟方≫·≪창진방 瘡疹方≫ 등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였으며 향약을 시행하도록 하여 교화사업에 힘썼다.
1519년 다시 서울로 올라와 참찬이 되었으나 같은 해에 기묘사화가 일어나서 조광조 일파의 소장파 명신들이 죽음을 당할 때, 겨우 화를 면하고 파직되어 경기도 이천에 내려가서 후진들을 가르치며 한가히 지냈다. 1532년에 다시 등용되어 예조판서·대사헌·병조판서·좌참찬·대제학·찬성·판중추부사·세자이사(世子貳師) 등을 역임하였으며, 1541년 병조판서 때에 천문·역법·병법 등에 관한 서적의 구입을 상소하고, 물이끼〔水苔〕와 닥〔楮〕을 화합시켜 태지(苔紙:가는 털과 같은 이끼를 섞어서 뜬 종이)를 만들어 왕에게 바치고 이를 권장하였다.
사대부 출신 관료로서 성리학적 이념에 의한 통치의 강화에 힘썼으며, 중국문화를 수용, 이해하기 위한 노력에 평생 동안 심혈을 기울였다. 시문으로도 명성이 있었으며 대제학으로 죽은 뒤 인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며, 여주의 기천서원(沂川書院)과 이천의 설봉서원(雪峯書院) 및 의성의 빙계서원(氷溪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모재집≫·≪모재가훈 慕齋家訓≫·≪동몽선습 童蒙先習≫ 등이 있고, 편서(編書)로는 ≪이륜행실도언해≫·≪성리대전언해 性理大全諺解≫·≪농서언해≫·≪잠서언해≫·≪여씨향약언해≫·≪정속언해≫·≪벽온방≫·≪창진방≫ 등이 있다.
 
4) 최숙정(崔淑精, 1433∼1480)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국화(國華). 호는 소요재(逍遙齋)·사숙재(私淑齋),
시호는 청간(淸簡). 우보(雨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승흡(承洽)이고, 아버지는 오위사정(五衛司正) 중생(仲生)이며, 어머니는 안선복(安善福)의 딸이다.
1461년(세조 7) 진사시에 합격하고, 1462년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한 뒤 사관(史官)으로 발탁되었다. 1464년 문풍 진흥을 위한 본관(本官)으로서 예문관직을 겸비하고 유학을 습업(習業)하게 한 겸예문직의 운영과 함께 겸예문직에 제수되고 사학문(史學門)에 배속되었다.
1466년 문과중시에 발탁되고 연이어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한 뒤 사가독서(賜暇讀書 : 문흥을 일으키기 위하여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에만 전념케 하던 제도)의 혜택을 입었다. 1470년(성종 1) 형조좌랑·경연시독관에 개수(改授)되면서 춘추관기주관이 되어 ≪세조실록≫과 ≪예종실록≫의 편수에 참여하고, 실록편수가 끝난 뒤 1계(階)가 가자(加資)되었다.
1472년 사헌부지평, 이후 예문관교리·경연시독관·경연시강관 등을 역임하고, 1476년 12월에 찬진(撰進)된 ≪삼국사절요≫의 편찬에 예문관부응교로서 참여하였다. 1477년 임금이 문신들을 친히 본 시험에서 연이어 세 번이나 장원을 하고 예문관직제학·춘추관편수관이 되어, 이듬해 찬진된 ≪동문선≫의 편찬에 참여하고, 같은 해 통정대부에 오르면서 여주목사(驪州牧使)로 파견되었다.
1479년 “두량(斗量)을 부정하게 사용하였다.”는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가 그 이듬해(성종 11) 홍문관부제학으로 복직되어 이조참판에 이르렀다. 성리학의 대가인 김종직(金宗直), 강희맹(姜希孟), 대문장가인 서거정(徐居正) 등과도 교분이 두터워서 일세의 명현이었다는 평판과 높은 시격(詩格)이 있다는 평을 들었다. ≪조야기문(朝野記聞)≫에 일찍이 그가 경릉전사(敬陵典祀)로 말직에 있을 때 재실 벽에 써 붙인 詩를 임금이 보고 크게 탄복하여 등용코자 마음먹고 있었다. 1857년(철종 8) 雪峯書院에 제향 되었으며, 1968년 경북 고령군 삼현사(三賢祠)에 제향 되었다.
≪동국여지승람≫, ≪동문선≫에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고, 저서로는 1813년(순조 13)에 간행된 ≪소요재집≫ 2권이 있다. 1998년 11월 이천문화원과 문중에서 「소요재시비」를 이천시립도서관 앞뜰에 건립하였다.

2007년 4월 설봉공원 내에 복설된 설봉서원은 총17억원의 예산으로 2000평의 부지 위에 연면적 110평의 규모로 지어졌다. 사우는 상현사(尙賢祠), 강당은 명교당(明敎堂), 동재는 삼성재(三省齋), 서재는 구사재(九思齋), 관리사는 양사재(養士齋), 외삼문은 앙현문(仰賢門)으로 하였으며, 그 외에 전사청, 내삼문, 협문, 기적비, 복원비, 홍살문, 화장실, 담장 등을 갖추었다. 설봉서원은 조선시대 서원의 전형적인 양식인 전학후묘형(前學後廟形)으로 서원의 대다수가 이 유형에 속한다. 건축의 규모, 구조 및 양식에 있어 조선조 서원과 비교해도 조금도 손색이 없으며, 주위의 경관과도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설봉서원은 전국에서 다섯 번째로 건립된 초기 서원에 해당하며 이건 된 곳으로부터 1Km정도 떨어진 위치에 복원되었다. 설봉서원의 복원은 이천지역 儒敎文化의 현대적 계승발전과 관련하여 그 의의가 매우 크다. 전통혼례의 시행이나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설봉대학을 비롯한 다양한 전통문화교육은 ‘유교문화유적’의 바람직한 활용으로서 매우 모범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 조 직
(사)설봉서원은 비영리법인으로 설봉서원 운영의 주체이며 정회원이 70명으로 서원의 운영에 필요한 법정이사회와 홍보를 담당하는 운영이사회로 구성되고, 산하에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사무국이 있다. 사무국의 주된 업무는 法人事務와 享祀 및 敎育管理 업무이다.
法人을 대표하는 理事長과 書院을 대표하는 院長이 있으며 서원업무 전반을 책임지는 都有司와 總務, 敎務업무에 각 실무자가 배치되어 업무를 분담하고 있다.
 
2) 운 영
이천시의 조례에 의하여 이천시와 (社)雪峯書院의 「설봉서원 민간위탁운영.관리에 관한 위수탁협약서」를 체결하여, 이천시는 서원운영에 관한 財政을 지원하고 (사)설봉서원은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한다. 이 외에도 설봉서원은 경기문화재단 등의 외부단체로부터 지원사업 공모를 통하여 전통문화보급에 관한 사업의 영역을 확대하였다.
설봉서원은 享祀는 물론이고 1년과정의 「설봉대학」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전통예절, 한학, 유학, 국악, 수묵화, 서예, 중국어회화, 풍수지리 등 다양한 교육을 연중 무료로 진행하며 , 외국인이나 다문화가족, 기관, 사회단체, 학교를 대상으로 「위탁교육」을 실시하여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와 다도교육, 예절교육, 청소년 인성교육 등을 전수하며, 방학 중 실시되는 「학생체험교육」을 통하여 인성교육과 한문, 향토사, 민속놀이, 전통공예 등을 가르침으로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 지역민들에게 「전통혼례」 장소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서 민족고유의 전통적인 멋과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