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 애당리 모촌 344 |
|
|
김남식(金南式) 김이성(金履成) 김성은(金性溵) |
|
|
1661년(현종 2) |
|
|
|
|
|
음 2월 25일 |
|
|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141호(1998.11.27지정) |
|
|
|
|
옥산서원은 1661년(현종 2)에 의촌 김남식(義村 金南式)이 옥산정사(玉山精舍)를 짓고 후진을 양성하던 곳이다. 그 후 1919년 강헌록진신장보유회소(綱獻錄縉紳章甫儒會所)의 전판서 심상황(沈相璜) 등이 고부향교 등 전국 유림에게 윤고문(輪告文)을 발송했다.이에 1935년 김성은 (金性溵)선생의 영당을 모촌 뒤에 창건하였고 23년 뒤 1957년 3월 현 위치에 이건하여 호남 유림들의 발의로 옥산사라 편액하고 유림향사로 봉행하였다. 그 후 10년 뒤 1967년 도내 유림의 공의로 옥산서원이라 개칭하고 주향에 김남식(金南式), 배향에 김이성(金履成), 김성은(金性溵)을 배향하였다. |
|
|
1)주벽(主壁)-김남식(金南式 光海9.丁巳1617~肅宗9.癸亥1683) 조선 중기(中期)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창의(倡義)한 선비이며. 본관(本貫)은 광산인(光山人)이다. 자(字)는 군언(君彦)이며,호(號)는 의촌(義村)이다. 1617년 광해(光海) 9년(丁巳) 12월에 지평(持平) 여성(汝聲)의 아들로 태어났다. 신독재(愼獨齋) 김 집(金集)의 문하생(門下生)으로 1636년 인조(仁祖) 14년(丙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義兵)을 일으켜 청주(淸州)에서 적병(敵兵)을 격파하고 남한산성의 임금 있는 곳으로 가려다. 굴욕적인 화의가 이루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하며 남쪽으로 내려와 고부 계령산 아래 집을 짓고 옥산정사라 편액하고 은거하며 후학을 장진(獎進)하였다. 그는 숭정(崇禎)을 일념(一念)으로 청(淸)의 년호(年號)를 쓰지 않으니 세칭 숭정처사(崇禎處士)라 일컬었다. 1683년 숙종9년(癸亥)에 졸하니 통훈대부 사헌부집의에 증직되었다가 예조판서 서준보가 가증을 상달하여 1828년 (純祖28.戊子)에 통정대부 이조참의에 증직되고 충신의 정려(旌閭)를 내렸다. 2)김이성(金履成 孝宗3.壬辰1652-肅宗22.丙子1696) 김이성(金履成) 본관(本貫)은 광산(光山)이며 자(字)는 성보(聖甫)요 호(號)는 시은(市隱)이다. 의촌(義村) 김남식(金南式)의 아들이며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門人으로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과거를 폐하고 화헌 정사를 지어 후진양성을 하였으며 효성이 탁이하여 1828년 효자의 정려(旌閭)를 받고 옥산서원에 배향되었다. 3)김성은(金性溵 英祖41.乙酉 1765∼純祖30.庚寅1830)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성연(聖淵), 호는 인일정(引逸亭). 전라북도 고부출신. 아버지는 윤중(允重)이며, 어머니는 연안김씨로 창문(昌文)의 딸이다.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과 중주(中洲)이직보(李直輔)의 門下에서 수업(受業)하니 先生이 상제인일(上帝引逸)이라 수서(手書)하여 정(亭)을 부처 사호(賜號)하였으며 미호(渼湖) 김원행(金元行). 과재(過齋) 김정묵(金正黙). 강재(剛齋) 송치규(宋穉圭). 강산(薑山) 이서구(李書九)와 경의(經義)질의(質疑)하였고 동국문헌록(東國文獻錄) ‧ 해동삼강록(海東三綱錄) ‧ 임병창의록(壬丙倡義錄) ‧ 성리변론(性理辯論) 태극해설(太極解說)과 노계집(蘆溪集)을 발간하였으며 장성오산(長城鰲山)에 임병창의비(壬丙倡義碑)를 세웠고 인일정(引逸亭) 유고(遺稿)가 있다. 통정대부 좌승지겸 경연참찬관(通政大夫 左承旨兼經筵參贊官)에 증직되고 옥산서원에 배향하고 영정(影幀)은 화백(畵伯) 석천(石泉) 한용필(韓用弼)이 그렸으니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이다.
|
|
|
삼강문(三綱門)은 1828년에 나라에서 내린 삼강정려로 특이하게 2층돌기둥으로 되어있다. 충신 김남식(金南式) ‧ 효자 김이성(金履成) ‧ 열녀 김윤문(金允文)의 처 완산이씨 ‧ 효녀 김윤중(金允重)의 처 연안김씨.효자 김윤명(金允明). 열녀 김국회(金國檜)의 처 성산이씨 ‧ 열녀 김찬영(金瓚榮)의 처 신평송씨의 정려(旌閭)이다. 옥산서원은 사우, 인일정 영당(引逸亭 影堂)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사우는 1956년에 중건한 사당에는 주벽(主壁) 의촌(義村) 김남식(金南式) ‧ 시은(市隱) 김이성(金履成) ‧ 인일정(引逸亭) 김성은(金性溵)을 배향하였다. 옥산서원, 사우3가3간 ‧ 내삼문 3가3간의 팔작지붕이고 모앙문 5가5간 팔작지붕이고 영당 3가 3간 팔작지붕, 신문 3가3간 팔작지붕이고 삼강정려는 3가3간이고 돌기둥 2층 구조로 팔작지붕이고, 보기드문 양식이며 고직사가 있고 옥산정사는 5가4간 팔작지붕이고 1661년 현종 2년(辛丑)에 창건하여 정조 10년丙午(1786)년에 중건하였으며 대청 좌우에 온돌방이 있고 강당 형식으로 원형을 잘 지키고 있으며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이다.
|
|
|
옥산서원은 묘정비 및 전라북도(全羅北道) 유생(儒生)의 상소문원본(上疏文原本)과 고문서. 간찰(簡札), 영정(影幀), 1800년대에 만든 조선지도(朝鮮地圖) 및 세계지도(世界地圖) 등 다수의 고서(古書)가 소장(所藏) 되어 있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41호이다.)
|
|
|
참고-정읍시사200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정읍시 홈페이지 http://culture.jeongeup.g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