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고암서원(考巖書院)
   전라북도 정읍시 상평동 378
   송시열(宋時烈) 권상하(權尙夏)
   1695년(숙종 21)
   1695년(숙종 21)
   음 9월 초정
   고암서원 묘정비-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 81호(1984.04.01지정)
조선조 1689년(숙종 15)에 송시열(宋時烈)이 정읍에서 수명(受命)한 후 6년 뒤 무고함이 밝혀져 나주 유생 나세기(羅世器) 등 팔백여명의 상소로 1695년(숙종 21)년 6월에 창건하고 그해 9월에 고암(考巖)이라 사액하였다. 그리고 1785년(정조 9) 10월에는 민치겸(閔致謙) 등 유림들의 상소로 송시열의 수제자인 권상하(權尙夏)를 배향하였다. 당시 이 두 분의 영정이 봉안(奉安)되었다. 당시의 서원에는 장의(掌議) 1명, 재임(齋任) 2명, 원생(院生)이 내외 60여명이었다. 1870년(고종 7)에 정부의 령(令)에 의하여 헐리웠는데 그 전날 밤에는 동네의 닭들이 초저녁부터 울어대고 마을의 샘물이 말랐다고 한다. 그 때에 건립한 묘정비(廟庭碑)가 남아있다.

1)주벽-송시열(宋時烈, 1607~1689)
조선후기의 학자·명신으로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화양동주(華陽洞主),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송갑조의 아들이며 사계 김장생과 신독재 김집으로부터 사사(師事)받았다. 27세에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1635년에는 봉림대군의 사부가 되어 훗날 효종과 깊은 유대를 맺는 계기가 되었다. 병자호란 이후에는 일체의 관직을 사양하고 향리에 낙향하여 10년간 학문에만 몰두하던 중 1649년에 효종이 즉위하자 기용되어 북벌 계획의 핵심인물이 되었다. 이후 송시열의 정치 생활은 북벌·예송과 관련하여 부침(浮沈)을 계속하였다.
조정에 나아가기보다는 향리에 은거한 기간이 대부분이었으나 사림의 중망 때문에 서인의 거두로, 혹은 노론의 영수로 막대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1689년의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축출되고 남인이 재집권하면서 유배와 사약을 받은 이후, 송시열의 행적에 대해서는 당파 간의 칭송과 비방이 무성하였다. 그러나 1716년의 병신처분과 1744년의 문묘 배향으로 그의 학문적 권위와 정치적 정당성은 공인되었고 영조 및 정조대에 노론의 일당 전제가 이루어지면서 그의 역사적 지위는 더욱 견고하게 확립되고 존중되었다.
송시열의 서원 제향은 1694년 갑술환국으로 서인이 다시 정권을 잡자 대대적으로 추진되어 청주의 화양서원을 비롯, 수원 매곡서원,영동의 초강서원, 제주의 귤림서원, 강릉의 오봉서원, 경주의 인산서원 등 전국적으로 약70여개 소에 이르며 사액(賜額) 서원만도37개소가 된다. 저서로는

경내의 건물로는 사우 1동(맞배지붕 동향), 강당 1동(맞배지붕 동향), 내삼문 1동(맞배지붕 동향)이 있다.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것을 1991년에 사우를 신축하고 1992년에는 강당을 신축하였으며 1993년도에는 삼외문 등이 건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고암서원 묘정비-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 81호(1984.04.01지정)
고암서원은 송시열이 정읍에서 사약을 받은 후, 그 무고함이 밝혀져 숙종 21년(1695) 사액이 내려 세워졌으나, 고종 8년(1871) 철거되었다. 그 유허에 비를 세웠는데 높이 195cm, 너비 78cm, 두께 19cm이다. 영조 24년(1747)에 이재(李縡)가 썼으며 현재 비각 안에 보호되어 있다.
참고-정읍시사, 2003.
전북문화재대관(199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북향교사우대관, 1994.
전주한옥마을 http://hanok.jeonju.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