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주벽-정몽주(鄭夢周, 1337∼1392) 정몽주의 초명은 몽란(夢蘭)·몽룡(夢龍)이고 자는 달가(達可)이며 호는 포은(圃隱)이고, 본관은 연일이다. 그는 추밀원지주사(樞密院 知奏事) 습명(襲明)의 후손이자 운관의 아들로 고려 1337년(충숙왕 복위 원년) 지금의 영천에서 태어났다. 1357년(공민왕 6) 감시(監試)에 합격한 뒤 1360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예문 검열(藝文 檢閱)·수찬(修撰) 등을 거쳐1363년 낭장 겸 합문지후·위위시승(郎將 兼 閤門祗侯·衛尉侍丞)이 되었다. 이 해 동북면 도지휘사 한방신의 종사관으로 여전족의 정벌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1371년 태상소경·보문각 응교 겸 성균직상을 거쳐 성균 사상에 올랐다. 이듬해 정사 홍사범의 서장관으로 중국 명나라에 다녀오던 중 풍랑으로 13일 동안 사선을 헤매다가 명나라 구조선에 구출되어 간신히 귀국하였다. 그 뒤 여러 벼슬을 거쳐 1390년 벽상삼한삼중대광·수문하시중·판도평의사사병조상서사사·영경령전사·우문관대제학·익양군 충의백(壁上三韓 三重大匡·守門下侍中·判都評議使事兵曹尙瑞寺事·領景靈殿事·右文館 大提學·益陽君 忠義伯)이 되었다. 그는 지방관의 비행을 근절시키고 의창을 세워 빈민들을 구제케 하였으며, 불교의 폐해를 없애기 위해 유학을 보급하였다. 특히 그는 성리학에 뛰어나 동방 이학의 시조로 추앙된다. ≪주자가례≫를 따라 사회 윤리와 도덕의 합리화를 기하고, 개성에 5부학당과 지방에 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는 한편≪대명률≫을 참작≪신율≫을 간행하여 법질서의 확립을 기하였으며, 외교 정책과 군사 정책에도 관여하여 기울어지는 고려의 국운을 바로잡고자 노력하였으나 이성계를 비롯한 신흥세력에 꺾였다. 그는 시문에 뛰어나 <단심가>외에 많은 시문을 남겼으며, 익양부원군(益陽府院君)에 추봉 되었다. 중종 때에 이르러 문묘에 배향되었다. 그의 저서로≪포은집≫이 전해지고 있다.
2)최양(崔瀁, 1351∼1424)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함(伯函), 호는 만륙(晩六) 또는 장륙당(藏六堂). 아버지는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지(贄)이며, 어머니는 영일정씨(迎日鄭氏)로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운관(云瓘)의 딸이다. 외삼촌 정몽주(鄭夢周)에게 수학하였으며, 1376년(우왕 2)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상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1384년 예문관직제학에 재임할 때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서북면 정벌에 참여하였으며, 그 뒤 대사간 문하찬성사에 이르렀다. 1392년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벼슬에서 물러나 전주 대승동(大勝洞) 봉강리(鳳崗里)에 은거하였다. 태조가 친구로 대우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관직과 전록(田祿)을 하사하였으나 받지 않았다. 저서로는 ≪만륙일고≫가 있다. 전주의 서산사(西山祠)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3)정지년(鄭知年, 1395∼1462)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유영(有永), 호는 노송정(老松亭). 아버지는 염(廉)이며, 어머니는 최씨(崔氏)로 묵(默)의 딸이다. 1438년(세종 20) 하위지(河緯地)·성삼문(成三問) 등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였다. 중훈대부(中訓大夫) 성균관사예로 있을 때 단종이 손위(遜位:임금의 자리를 사양함)하자 전리(田里)로 퇴거하여 경서(經書)연구에 전념하였다. 정자 이름을 ‘노송정’이라 하고, 자호(自號)를 ‘망칠(望七)’이라 하였는데, 육현(六賢)에 하나를 첨가한다는 뜻이다. 뒤에 좌찬성에 증직되고, 계림군(鷄林君)에 봉하여졌다. 남원 덕암서원(德巖書院), 순천 옥계사(玉溪祠), 공주 숙모전(肅慕殿)에 배향되었다. 그에 대한 ≪노송실기≫가 있다. 4)박종수(朴從壽) 박종수의 초명은 송년(松年)이고 자는 수부(壽夫)이며 호는 경덕재(經德齋)이고 본관은 전주이다. 그는 고려 1316년(충숙왕 3년)문과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은 채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완산에 은거하여 태조 이성계의 부름을 받았으나 끝내 응하지 않았다. 그는 죽음에 이르러 ‘충효(忠孝)’에 관한 시를 지어 자손에게 전하였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