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연합회

  1. 홈
  2. 로그인
  3. 회원가입

율곡리더십아카데미 - 옛 성현의 얼과 지혜가 살아 숨쉬는 곳!


죽계서원(竹溪書院)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793
   김 선(金 侁) 장필무(張弼武) 장의현(張義賢) 장지현(張智賢)
    1713년(숙종 39)
   
   (음) 3월 10일
   
이 서원은 1713년(숙종 39)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선(金侁), 장필무(張弼武)의 충절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장의현(張義賢), 장지현(張智賢), 하정도(河呈道), 하형도(河亨道), 하현도(河顯道)를 추가 배향하였다.
1869년(고종 6) 대원군의 철폐령으로 훼철되어 1905년에 하정도, 하형도, 하현도 등 3현의 위패는 백산서원(柏山書院)으로 옮겨 봉안하였으며, 1967년 본 서원을 다시 재건하였다. 현재는 고려 때의 명신 문간공 참정 김선(金侁)을 주향으로 하고 조선 중기의3부자 충신 장필무(張弼武)와 그의 아들 장의현(張義賢), 장지현(張智賢)을 배향하고 있다.

1)주벽-김선(金侁)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진례(進禮). 낭장을 지낸 왕연(王涓)의 사위이다. 1305년(충렬왕 31)에 원나라의 요양행성참정(遼陽行省參政)이 되어 고려에 공이 있었으므로, 고향인 진례현이 금주(錦州)로 승격되었다. 일찍이 그의 어머니가 왜에 피살되자 백골을 수습하여 하늘에 고하니, 구름이 갑자기 모여 비가 내렸다고 한다. 그 뒤 조정에서 사우(祠宇)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
 
2)장필무(張弼武, 1510∼1574)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구례(求禮). 자는 무부(武夫), 호는 백야(栢冶). 할아버지는 군수 사종(嗣宗)이며, 아버지는 근(謹)이다.
1543년(중종 38) 무과에 급제하고, 그 뒤 부산진첨절제사·제주목사·만포진첨절제사를 지냈다. 종사관(從事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온성판관으로 변방의 경계를 엄중히 하였다. 1572년(선조 5) 함경도병마절도사로서 오랑캐의 침입을 막았고, 1573년 경상좌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무인이면서도 역학(易學)에 밝았고, 명종·선조대의 무인으로서는 가장 청렴결백하기로 이름이 났으며, 죽은 뒤 청백리에 녹선되었다.병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영동의 화암서원(花巖書院), 무주의 죽계서원(竹溪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백야유사≫가 있다. 시호는 양정(襄貞)이다.
 
3)장의현(張義賢,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구례(求禮). 일명 응현(應賢). 호는 오류정(五柳亭). 아버지는 경상좌도병마절도사 필무(弼武)이다.
1573년(선조 6)에 비변사에 의하여 무장으로 천거되어 1577년 해남현감을 지내고, 1583년 부령부사로 이탕개(尼湯介)의 침입을 막아 명성을 떨쳤으나, 후일 하삼도병수사의 부적격자 중의 하나로 지목되어 교체되기도 하였다.
1591년 장흥부사가 된 뒤 임진왜란 때는 전라도방어사 이시언(李時言)의 조방장으로 거제도 공략 등에 참여하는 등 활약하였다. 1600년 호군(護軍)이 된 뒤 노병으로 사직하였다.
 
4)장지현(張智賢, 1536∼1593)
조선 중기의 의병장. 본관은 구례(求禮). 자는 명숙(明叔), 호는 삼괴(三槐). 아버지는 병마절도사 필무(弼武)의 아들이다. 1590년(선조 23) 지략(智略)으로 천거를 받아 전라도병마절도사 신립(申砬)의 부장(部將)이 되고, 이듬해 감찰에 올랐으나, 사직하고 향리로 돌아왔다.
1592년 임진왜란 때 경상도관찰사 윤선각(尹先覺)에 의하여 그의 용맹을 인정받아 비장(裨將)으로 발탁되어 이듬해 부하 수천명을 거느리고 황간의 추풍령에서 적을 요격하던 중 금산방면에서 공격해 온 왜장 구로다(黑田長政) 군사의 협공을 받아 그의 사촌동생 호현(好賢)과 함께 전사하였다. 병조참의에 추증되고, 영동의 화암서원(花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사우인 죽계사(竹溪祠)는 전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며 죽계서원의 현판이 걸린 강당과 외삼문 1동, 수직사 1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무주군지, 199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북향교원우대관, 1994.